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퇴계와 T. S. 엘리엇: 형이상학적 도덕론에서의 조우

이용수 0

영문명
Toegye and T. S. Eliot: an Unexpected Encounter in Metaphysical Morality
발행기관
한국T.S.엘리엇학회
저자명
조병화
간행물 정보
『T. S. 엘리엇연구』제26권 제1호, 89~111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어문학 > 영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5.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퇴계 이황과 엘리엇에게는 시간과 공간적 배경에서 매우 커다란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형이상학적 혹은 초월적 사변과 가치에 경도되었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둘은 모두 현상계를 스스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를 갖고 있는 열등하고 타락한 상태로 인식하며 그 상태로부터 초월적 구원의 방법을 모색한다. 퇴계는 성(性), 즉 인간의 마음속에 있는 우주의 근본원리로서의 리(理)의 존재를 확립하고 리가 주체적이고 적극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보이기 위한 노력을 포기하지 않았다. 이 노력이 극적으로 표출된 것이 고봉 기대승과의 사단칠정(四端七情)논쟁이다. 20세기 초의 엘리엇은 자유주의자 그리고 인본주의자들의 인간 중심 혹은 이성 중심의 경향에 맞서 교회와 그 가치를 굳건히 지킬 것을 주창한다. 엘리엇이 말하는 초자연성(the supernatural) 혹은 신성(the divine)은 퇴계가 우주원리로서 받아들인 리처럼 초월적 혹은 형이상학적 도덕론을 통한 문제해결 모색과 크게 다르지 않다. 엘리엇이 현실계에 대한 품은 부정적 인식과 형이상학적 해결을 모색해가는 과정은 『황무지』에서 출발하여 『재의 수요일』을 거쳐 『네 사중주』에 이르기까지 명확하게 드러나 있다. 성리학과 엘리엇의 초월적 사유가 가진 자위성과 위계적 세계관이 어떻게 실체적 근거와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인가는 특별히 현대적 상황에서 유용한 질문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 S. Eliot is not to be easily associated with Toegye for the geographical and chronological gap between them, apart form the former’s well-known posture as champion of the western tradition. However, they share metaphysical worldviews, which may strongly characterize themselves as means for the betterment of their societies. In metaphysical systems of thought are often found teleological and hierarchical propensities, which are of political implication. Neo-Confucianism was adopted by the newly-formed ruling class of the early Yi-Dynasty, who wished to found their new nation on a stable basis with strong ethical codes. The metaphysical orientedness of Toegye’s philosophy is well displayed in the so-called ‘Four-Seven Debate.’ This well-known debate shows how staunchly Toegye stuck to metaphysical views while his opponent hinted at how Neo-Confucianism was beginning to lose its intial leverage as the dominant value of the Yi-Dynasty. Eliot also wanted to keep the inherited tradition of Christianity for the stability and harmony of his society he then found plummeting into a chaos. He found the phenomenical world problematic and unsatisfactory as documented in The Waste Land, whose final section is devoted to seeking after a redemption from the world beyond. Eliot searched more overtly for metaphysical voices in Ash-Wednesday and Four Quartets. The former was the depiction of the poet’s personal transition from the worldly to the transcendental while the latter shows how the poet seeks an encounter with the divine in a number of situations. This religious commitment of Eliot’s was also connected to his political stance and often questioned by those with more liberal and humanistic values then and afterward; Toegye’s Neo-Confucianism was challenged by more experience-inclined scholars of his age, gradually giving in its position as the organizing principle of the Yi-Dynasty to more practical ways of thinking from the mid-17th century.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사단칠정(四端七情)논쟁에 나타난 퇴계의 형이상학적 사유(思惟)
3. 엘리엇의 종교적 사유
4.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병화. (2016).퇴계와 T. S. 엘리엇: 형이상학적 도덕론에서의 조우. T. S. 엘리엇연구, 26 (1), 89-111

MLA

조병화. "퇴계와 T. S. 엘리엇: 형이상학적 도덕론에서의 조우." T. S. 엘리엇연구, 26.1(2016): 89-1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