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의 재가 생애말기 돌봄요구도와 사전 연명의료결정에 대한 태도

이용수 127

영문명
The Degree of the Demand for Caring at the End of Life in the Home Life of the Elderly Residing in the Community and the Attitude Regarding the Prior Life-prolonging Medical Treatment Decision
발행기관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저자명
김숙남(Kim, Sook-Nam) 김소영(Kim, So-Young) 조명주(Jo, Myoung-Ju)
간행물 정보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제44호, 31~5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의 생애말기 돌봄요구도와 사전 연명의료결정에 대한 태도를 확인하여초고령화시대 지역사회 기반의 재가 생애말기 돌봄체계를 구축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다. 자료수집은 수도권(서울인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1,310명을 대상으로 연구보조원을 통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6.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과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노인의 재가 생애말기돌봄요구도는 평균 4.09점(5점 만점)이었고, 안위증진을 위한 지지요구가 가장 높았다. 사전 연명의료결정에 대한 태도는 평균 2.98점(4점 만점)으로 긍정적 태도를 보였고, 두 변수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바탕으로 향후 재가 노인을 위한 생애말기돌봄체계는 신체·심리·사회·영적요구를 통합적으로 반영한 돌봄체계가필요하고, 사전 연명의료결정에 대한 노인의 자율성을 보장하기 위한 교육과 상담이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할것이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향후 다양한 연구설계를 활용하여 재가 생애말기돌봄체계구축을 위한 연구성과를축적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basic practices reference for establishing a home life end of life caring system based on the community in the super-aging era, by confirming the degree of the demand for the caring at the end of the life of the elderly residing in the community as well as the attitude regarding the prior life-prolonging medical treatment decision. Regarding the collection of the data, a questionnaire survey investigation was conducted with a research assistant of 1,310 elderly age 65. Regarding the data collected, by using the SPSS 26.0 program, it was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the one-way ANOVA, and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egarding the degree of the demand for the caring at the end of life in the home life of the elderly, the mean score for degree of demand was 4.09 that was higher than the middle. Additionally, the support demand for the safety promotion was the highest. The mean score regarding the attitude, in relation to the prior life-prolonging medical treatment decision was 2.98. Also, the two variable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ased on the results, regarding the system for the caring at the end of life for the elderly who had been living at home in the future, a caring system that reflects the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and spiritual demand in an integral way is needed. Additionally, the education as well as counseling regarding the prior life-prolonging medical treatment decision for guaranteeing the autonomy of the elderly, must be included indispensabl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숙남(Kim, Sook-Nam),김소영(Kim, So-Young),조명주(Jo, Myoung-Ju). (2022).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의 재가 생애말기 돌봄요구도와 사전 연명의료결정에 대한 태도.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 31-55

MLA

김숙남(Kim, Sook-Nam),김소영(Kim, So-Young),조명주(Jo, Myoung-Ju).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의 재가 생애말기 돌봄요구도와 사전 연명의료결정에 대한 태도."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2022): 31-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