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노인의 장기요양 서비스 이용과 삶의 질에 관련된 학술논문 체계적 문헌 고찰

이용수 199

영문명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Long-Term Care Service Use and Quality of Life Among Korean Elderly
발행기관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저자명
홍석호(Hong, Seokho) 장국염(Zhang, Guoyan) 장은하(Jang, Eunha)
간행물 정보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제44호, 5~3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령 노인이 급증하면서 노인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가족부양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된 노인장기요양보험은 어느덧 15년을 바라보고 있다. 이 시점에서 장기요양 서비스 이용 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실증연구를 체계적으로 종합해보고 고찰함으로써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연구를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8년 7월 1일부터 2022년 4월 1일까지 게재된 국내 학술지 KCI, RISS, e-Article 3 개의 웹 데이터베이스에 <장기요양보험서비스> <삶의 질> 등의 키워드를 조합하여 검색된 1,797건의 문헌을 선정 및 제외기준을 적용하여 최종으로 30건의 문헌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장기요양 서비스와관련된 변인을 3개의 요인(기관 요인, 서비스 요인, 개인 요인)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둘째, 노인의 삶의 질은기관 요인 외에도 서비스의 만족과 개인 요인들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노인의 삶의 질은 인구 사회학적 특성뿐만 아니라 신체적 기능, 주관적 건강 상태 및 정서·심리적 기능, 사회적 기능과도 유의한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장기요양 서비스 이용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실천적, 정책적 제언 및 후속 연구 방향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As the numbers of elderly people are rapidly increasing, long-term care insurance, introduced to elevat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and relieve the burden of their families’ support, has been in existence for 15 ye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uild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elevat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by systematically synthesizing empirical studies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using long-term care services. In this study, 1,797 documents were searched by combining keywords such as and in three web databases of KCI, RISS, and e-articles published July 1, 2008-April 1, 2022. The final 30 documents were selected and analyzed, by applying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to the literature. As a result, first, it was feasible to categorize variables related to long-term care services into three factors (institutional, service, and individual factor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as directly or indirectly impacted by service satisfaction, as well as individual factors, in addition to institutional factor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s well as physical function, subjective health status, emotional/ psychological, and social function. Based on the results, practical and policy recommendations and follow-up research directions are sugges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using long-term care servic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체계적 문헌 고찰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석호(Hong, Seokho),장국염(Zhang, Guoyan),장은하(Jang, Eunha). (2022).한국 노인의 장기요양 서비스 이용과 삶의 질에 관련된 학술논문 체계적 문헌 고찰.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 5-30

MLA

홍석호(Hong, Seokho),장국염(Zhang, Guoyan),장은하(Jang, Eunha). "한국 노인의 장기요양 서비스 이용과 삶의 질에 관련된 학술논문 체계적 문헌 고찰."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2022): 5-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