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John Wesley’s Anthropology in the Light of Jaegwon Kim’s Supervenience Argument

이용수 0

영문명
John Wesley’s Anthropology in the Light of Jaegwon Kim’s Supervenience Argument
발행기관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저자명
전대경(Dae Kyung Jun)
간행물 정보
『갱신과 부흥』Vol.30, 189~220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존 웨슬리는 일원론자였을까, 아니면 이원론자였을까? 이러한 심신 문제와 관련하여, 웨슬리 신학계 내에는 뚜렷한, 소위 ‘수용된 견해’가 아직 보이지 않는다. 대표적인 예로, 저명한 웨슬리 신학자 윌리암 랙스데일 캐논은 웨슬리를 실체 이원론자로 묘사하는 반면, 또 다른 저명한 웨슬리 신학자 한영태는 웨슬리를 실체 일원론자로 묘사한다. 둘 중 한 명이 옳을까, 아니면 둘 모두 틀렸을까? 논리적으로, 둘 모두 참일 수는 없다. 만일 존 웨슬리가 영, 혼, 육의 실체를 모두 인정하는 삼원론자였다면, 이는 캐논과 한영태 모두 틀렸음을 의미할 것이다. 심신 문제와 관련하여 존 웨슬리의 인간론은 실제로 무엇이었을까? 이 질문이 바로 본 소고의 바닥 전체에 깔려 있는 연구질문이다. 위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찾기 위해, 본 소고는 배제 논변이라고도 알려진 김재권의 수반 논변의 빛에서 웨슬리의 인간론을 다룬다. 환원적 물리주의자로 잘 알려진 김재권과 그에 대한 비판가들(비환원적 물리주의자들)의 논쟁은 우리로 하여금 심신 문제에 대한 웨슬리의 견해를 구체화하고 재조명하는 데에 유리한 지점으로 안내할 것이다. 심신 문제와 관련한 본 소고의 핵심 주제에 더 집중하기 위해 본 소고는 인간론과 관련한 다른 세부 주제들을 의도적으로 배제한다. 본 소고는 심신 문제에 대한 웨슬리의 인간론의 실재를 규명하고자 한다. 먼저, 일원론자로서 웨슬리가 환원적 물리주의자였는지, 아니면 부수현상론자였는지 여부를 다룬다. 그런 다음, 웨슬리가 속성 이원론자(혹은 비환원적 물리주의자)였는지 아니면 실체 이원론자였는지 여부를 다룬다. 마지막으로, 웨슬리가 삼원론자였을 경우를 상정하여 웨슬리의 심신 문제에 대한 인간론을 종합적으로 다룬다. 이를 통해, 만일 “신자의 중간 단계”가 고려되었을 경우, 웨슬리의 그리스도인에 대한 인간론은 이원론이나 일원론일 수 없음을 논증한다.

영문 초록

Was John Wesley a substance dualist, or a monist? In regard to this mind-body problem, it seems there have not been yet any distinguished, so-called, “received view” in Wesleyan theology. For instance, one of renowned wesleyan theologians, William Ragsdale Cannon seems to depict Wesley as a substance dualist, while another well-known wesleyan theologian, Young-tae Han seems to claim Wesley as a substance monist. Are they both wrong, or either of them is right? There is no way that both correct, logically. If John Wesley was a trialist, who stands for soul, spirit, and body, then none of Han and Cannon is correct. What is the reality of John Wesley’s anthropology in regard to the mind-body problem? That is the research question underlies at the bottom of this paper. In search for the answer to the question above, this article deals with John Wesley’s Anthrophology in the light of Jaegwon Kim’s supervenience argument, which is also known as exclusion argument. Kim’s well known reductive physicalism, along with criticisms against him, would give us a vantage point for reificating and re-envisioning of Wesley’s view on mind-body problem. To focus on and narrow down the research topic to the mind-body problem, this article intentionally exclude other theological sub-themes, which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main topic of this paper, in anthropology. This article is to clarify the reality of Wesley’s view on mind-body problem. First, if Wesley, as a monist, is a reductive physicalist or an epiphenomenalist is dealt. Secondly, if Wesley is a property dualist(or a non-reductive physicalist) or a substance dualist is dealt. Lastly, the reality of Wesley’s view on mind-body, if he is a trailist, is comprehensively examined. It is to argue that John Wesley’s Christian anthropology is, if “the intermediate state” is considered, neither dualism nor monism.

목차

Ⅰ. Introduction: Considering the Engagement
Ⅱ. John Wesley’s Monism: Reductive Physicalism or Epiphenomenalism
Ⅲ. John Wesley’s Dualism: Non-reductive Physicalism or Emergentism
Ⅳ. John Wesley’s Christian Anthropology as Trialism: Substance or Property
Ⅴ. Conclusion: Breaking off the Engagemen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대경(Dae Kyung Jun). (2022).John Wesley’s Anthropology in the Light of Jaegwon Kim’s Supervenience Argument. 갱신과 부흥, (), 189-220

MLA

전대경(Dae Kyung Jun). "John Wesley’s Anthropology in the Light of Jaegwon Kim’s Supervenience Argument." 갱신과 부흥, (2022): 189-2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