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호모 팜파구스’와 ‘호모 에스테티쿠스’

이용수 2

영문명
‘Homo Phampagus’ und ‘Homo Aestheticus’ : Die Problematik von Körper und Geist bei Nietzsche im Licht des Begriffs ‘’
발행기관
한국니체학회
저자명
원동훈(Won, Dong-Hoon)
간행물 정보
『니체연구』제22호, 41~6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0.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니체 사상에 있어서 ‘몸과 마음’의 문제를 양자와 숨을 포괄하는다차원적이고 통합적인 복잡계인 ‘''’의 관점에서 새롭게 조명함을 목적으로한다. 니체가 사용하는 ‘퓌지스(physis)’의 개념은 복잡계인 ‘''’과 단순계인‘몸’의 차이를 구분하기 힘들고 ‘신체(Leib)’나 ‘자기(das Selbst)’와 같은 개념또한 몸(살)이나 추상적 이미지에 너무 고착되어 있어 복잡계로서의 인간을표현하기에 접합하지 않다고 본다. 몸과 마음의 문제를 ‘''’의 관점에서 재조명하기 위해 사용될 두 핵심 키워드는 니체가 ‘근대인’과 ‘근대성‘을 지칭하기 위해사용했던 ’호모 팜파구스(Homo Pamphagus)‘와 ‘생리학적 자기모순’이다. 우리는 타키투스와 헤세가 고대 게르만인들과 현대의 영국인들의 전형으로 묘사한 특징들을 거울삼아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는 게르만 문화의 호모 팜파구스적 연속성을 밝혀내고 소크라테스 이전의 그리스 미학과 고대 주나라 시대의미학 그리고 인도의 라사 미학에 숨어 있는 ‘호모 에스테티쿠스(Homo Aestheticus)’적 인간관을 새롭게 조망한다.

영문 초록

Die vorliegende Arbeit befasst sich mit der Problematik von Körper und Geist bzw. Leib und Seele bei Nietzsche im Licht des Begriffes ‘''’, der als mehrdimensionale und integrale Einheit von Körper/Leib (몸), Geist/Seele (마음oder 맘) und Atmung (·) die begrifflichen Schwächen des ‘Physis’ zu überwinden imstande ist, die gerade darin liegen, dass man darunter nicht nur inklusive Mehrdimensionalität (composite system: Körper/Leib mit Geist/Seele) sondern auch exklusive Eindimensionalität (simple system: Körper/Leib ohne Geist/Seele) verstehen kann. Der neue Begriff ‘''’ gibt uns einerseits die Chance, sowohl die Zweideutigkeit des Begriffs ‘Physis’ wie die Dunkelheit und Undeutlichkeit der von späterem Nietzsche in Geltung gebrachten einheitlichen Begriffe von ‘Leib’ und ‘das Selbst’ zu überwinden, die jeweils aufgrund ihrer Leiblichkeit und Abstraktheit für die Auffassung der integralen Mehrdimensionalität nicht angebracht zu sein scheinen, und andererseits die dritte Dimension der ‘Atmung’ als unentbehrlichen Bestandteil des menschlichen Daseins neu zu bewerten. Um dies zu veranschaulichen, versuchen wir zwei Schlüsselbegriffe Nietzsches, ‘Homo Phampagus’ und ‘den physiologischen Widerspruch’ neu zu interpretieren, womit er jeweils ‘den modernen Menschen’und ‘die Modernität’ definierte, indem wir anhand der altasiatischen wie altgriechischen Ästhetik ‘Homo Aestheticus’ als ‘uralte Zukuft’ neu beleben.

목차

1. 들어가는 말
2. sum ergo cogito
3. 호모 팜파구스(Homo Phampagus)로서의 근대인
4. 호모 에스테티쿠스(Homo Aestheticus), 오래된 미래
5.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원동훈(Won, Dong-Hoon) . (2012).‘호모 팜파구스’와 ‘호모 에스테티쿠스’. 니체연구, (), 41-63

MLA

원동훈(Won, Dong-Hoon) . "‘호모 팜파구스’와 ‘호모 에스테티쿠스’." 니체연구, (2012): 41-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