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석기시대 뗀돌칼과 생업활동

이용수 230

영문명
Lithic Knife Tool and Subsistence Activities in Neolithic Era: A Research based on Unearthed Articles in Amsadong Site
발행기관
한국신석기학회
저자명
김영준(Kim Young Jun)
간행물 정보
『한국신석기연구』제 43호, 35~5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의 목적은 신석기시대 출토 뗀돌칼을 통해 신석기시대 저차원 식량생산단계(Low-Level food Production)에 대해 접근하는데 있다. 저차원 식량생산 단계는 초기 농경, 즉 기존의 채집 경제에 식물 자원의 관리와 이용이 추가되는 생업경제 단계로 해석된다. 하지만 신석기시대 모든 유적에서 곡물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는상황이므로 한반도 신석기시대가 저차원 식량생산단계라 일반적으로 판단하기에는 아직 고고학적 증거가 충분하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생업도구인 석기를 통한 상호접근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농경이 처음으로 도입되는 중서부 지역에서는 유적별 곡물 분석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인 탓에 생업 도구인 석기를 가지고 생업 활동을 이해하려는 연구 방법은 매우 유용하다고 할수 있다. 그러므로 중서부 지역의 대표적인 마을 유적인 암사동 유적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그이유는 석기의 출토 량이 풍부하고 석기 제작기술 체계도 다양하니, 신석기 사람들의 역동적인 생업활동을 여러 각도에서 설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분석된 결과 신석기시대 뗀돌칼의 특징은 첫째, 전체 석기 출토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다. 둘째, 정형화된 형태를 가지지 않는다. 셋째, 뗀돌칼은 몸돌에서 체계적인 과정을 통해 생산되기보다 대형 도구를 제작하는 단계에서 너비격지가 생산되면, 이 격지에 날카로운 자연날을 이용하여 뗀돌칼로 사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특징은 한반도 뗀돌칼 출토 유적에서 공통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넷째, 신석기시대 뗀돌칼은 충적지 유적을 중심으로 출토되며, 후기로 갈수록 출토 유적이 늘어난다. 다섯째, 곡물이 출토되는 충적지 유적에는 뗀돌칼이 빠짐없이 출토되고 있다. 이와 같은 출토상황은 신석기시대 후기로 갈수록 유적에서 식물자원 이용이 늘어가고 있으며, 뗀돌칼을 식물의 수확구로 사용한 유적도 같이 늘어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게 한다. 곡물 분석 자료가 확보되지 않아 단언 할 수는 없지만 현재까지 암사동 유적은 신석기시대 뗀돌칼 출토가 가장 많은 유적으로 뗀돌칼을 이용하여 식물자원을 수확하였음을 보여주는 유적으로기존 여러 생업활동 가운데 식물자원의 관리와 이용도 비교적 활발히 이루어진 유적으로 평가 할수 있다. 이는 농경사회로 인식되는 청동기시대에 식물 수확을 위한 정형화된 반달돌칼이 전용 도구로사용되었던 것과 달리, 저차원 식량생산 단계인 신석기시대 암사동 유적에서는 식물 수확을 위한도구를 전용도구로 사용되지 않았던 것으로 볼 수 있다. 대신 대형도구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날카로운 자연날이 있는 너비 격지가 생산되면 식물 자원을 수확하는데 그때그때 사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pproach Low-Level food Production in Neolithic era by using Lithic knife Tool which has not been focused so far. Low-Level food Production stage is interpreted as an economic activity for subsistence, which could manage and utilize plant resources added to established food gathering economics, that is, the early stage of farming. However, Neolithic era in Korean peninsular do not have enough archeological evidence for Low-Level food Production stage because grain analyzing in Neolithic era has not been fully made in all the remains in that period. To make up for this, mutual approach in truly important thorough the stone tools for subsistence. Especially, the middle western area which adopted farming for the first time does not have enough analyzing information for grain respectively. Therefore, the approach through the stone tools for subsistence is absolutely needed. Because of this, well- known Amsadong village remains were chosen. The main trait of the Neolithic Lithic knife Tool based on analyzing data is that firstly it is a small part of all the unearthed items. Second, it departs from the standard pattern. Third, Lithic knife Tool is likely to be produced during by using width flake in the process of making a large-scale item rather than is made through a systematic process. Lithic knife Tool is likely to be made with natural sharp blade from width flake. This kind of trait has been shown in Lithic knife Tool items in Korean peninsular. Fourth, Lithic knife Tool in Neolithic era is excavated mainly from alluvion areas and unearthed items increased as the late Neolithic ear came. Fifth, alluvion remains excavated with grain has Lithic knife Tool. It tells us that we could see plant resources and Lithic knife Tool used as a harvesting tool also increased in the remains as it goes to the late Neolithic era. Despite the fact that grain analyzing evidence is not fully gathered yet, until now, Amsadong site is one of the major sites which shows harvest,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plant resources by using Lithic knife Tool remains. This means that in the bronze age considered as an agrarian society, a standardized Stone Harvesting Knives was used as a exclusive tool for harvesting plant as food resource but at Amsadong site in Neolithic period considered as a low-level food production stage, exclusive tool as a tool for gathering food might not be used. Instead, it might be possible that width flake with naturally made sharp blade in the process of making large tools occurred sometimes and it was used as a tool for plant food gathering.

목차

Ⅰ. 머리말
Ⅱ. 뗀돌칼의 정의와 현황
1. 정의
2. 출토 현황
Ⅲ. 뗀돌칼의 기술 체계
1. 제작 과정
2. 사용 과정
3. 재활용 과정
Ⅳ. 출토 유적 특징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준(Kim Young Jun). (2022).신석기시대 뗀돌칼과 생업활동. 한국신석기연구, (), 35-56

MLA

김영준(Kim Young Jun). "신석기시대 뗀돌칼과 생업활동." 한국신석기연구, (2022): 35-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