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라토기 경주양식 분포권과 교통로

이용수 652

영문명
Distribution of Silla Pottery with Gyeongju Style and Transportation Network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고상혁(Ko, SangHyuk)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117호, 87~11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글은 낙동강 동안양식을 신라라는 정치체의 관점으로 해석한다면 그 안에서 나타나는 소지역 양식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하였다. 양식권이 형성되는 과정에는다양한 요인이 작용하지만 기존에는 정치적 해석의 틀을 벗어나지 못하였다. 본 글에서는 이와 다르게 필수재 획득을 위한 교통의 관점에서 그 일단면을 살펴보고자 한다. 교통은 문화를 통합함과동시에 이질적인 문화권이 형성되는 원인이 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연구 대상으로 황남대총 남분을 전형으로 하는 경주양식 이단투창고배를 선정하였다. 낙동강동안양식 안에 존재하는 소지역양식 중 가장 넓은 범위에서 확인되기 때문에 교통망을 살피기에유용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우선 황남대총 남분 출토 이단투창고배의 다양한 형식 중 주변의 소지역양식과 구별되는 고유한 속성을 추출하고, 그 분포 범위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포 범위를 유자이기와 곡인철기, ‘ㅏ’자형 고분과 묘조가 있는 목곽묘의 분포 범위와도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이들 철기와 고분의 분포 범위는 경주양식 토기의 분포권과 일치하고 있어 이들 분포권이 매장의례를 공유하는 동일 문화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해당 문화권은 경산-영천-경주-울산⋅포항으로 연결되는 교통로가 중심이 되지만, 동해안을따라 강원도 강릉으로도 연결된다. 이 교통로가 간선도로로 작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밀양, 청도, 경산에서는 간선도로를 이용하지 않고 울산으로 이어지는 지선이 별도로 작동하고 있었다. 이외에포항-영천, 안동-영양-영덕⋅영해로 이어지는 교통로도 작동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교통로를 검증하기 위해 조선 후기 염도와 비교하였다. 삼국시대 이래 조선 후기까지교통에 영향을 미치는 지형에서의 변화가 크지 않았으며, 염도는 가장 많은 물동량이 이동하던 도로이기 때문이다. 영남지역의 염도는 지리적 요인에 의해 크게 4개 유통권으로 구분되는데, 경주양식 토기의 분포권은 동해안 염 유통권과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영남지역 고대 교통로를 복원하는데 토기 양식이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내륙에서 출발한 도로의 종착점이 정치적 중심지인 경주보다는 울산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어염(魚鹽)⋅철과 같은 필수재 획득을 위해 형성된 교통망이 토기양식권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started with the question of how to interpret the sub-regional style that it belongs to the earthenware culture on the east side of the Nakdong River as the product of the Silla political system. Although various interpretations are possible, the study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transportation aspect. Transportation is a factor that integrates cultures, but it is also a cause of heterogeneous cultures. As a research subject, Gyeongju-style mounted cup with double-openwork(二段透窓高杯) was selected as the typical model of the southern grave of Hwangnam grand tomb(皇南大 塚南墳). It was judged to be useful for examining the transportation network. Because it is the most widely identified within the sub-regional style. First, among the various forms in the southern grave of Hwangnam grand tomb, the unique properties that distinguish them from the surrounding sub-regional style were extracted, and their distribution range was examined. This range was compared with the distribution ranges of the iron sword with curve(曲刃鐵器), the ceremonial ornament with bird-shaped thorn(有刺異器), and ㅏ-shaped tomb(ㅏ字形古墳). The distribution range of iron wares and tomb coincided with the distribution area of Gyeongju-style earthenware, it was confirmed that these distributions correspond to the same culture in relation to burial rites. The cultural zone is centered on the transportation route of Ulsan-Gyeongju-Yeongcheon- Gyeongsan⋅Pohang, and also connects to Gangneung, Gangwon province along the east coast. It is presumed that this route served as an arterial road. The main road was not available from Miryang, Cheongdo, and Jain. It seems that there was a separate branch line joining Ulsan. In addition, it is presumed that the Andong-Yeongyang-Yeongdeok-Yeonghae transportation route was also operated. These transportation route was verified by comparing it with the salt road in the late Joseon Dynasty. Because the salt road was the road with the most traffic.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三國時代) to the late Joseon Dynasty(朝鮮時代), there were virtually no changes in the terrain and means of transportation that could significantly affect transit. The salt road in the Yeongnam region were divided into four districts according to geographical factors. It was confirmed that the distribution zone of Gyeongju-style earthenware were consistent with the distribution network of salt in the east coast.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earthenware culture could be used to restore ancient transportation routes in the Yeongnam region. Considering that the salt road operated in the private sector and that the end point of the road starting inland is leading to Ulsan rather than the political center Gyeongju, it could be observed that the transportation network formed to obtain essential goods such as salt and iron had an effect on the formation of pottery distribution zone.

목차

I. 머리말
II. 경주양식 토기의 분포 범위
1. 연구 대상의 시간적 위치
2. 연구 대상과 분포 범위
Ⅲ. 경주양식 토기 문화권 설정
1. 철제의기
2. 고분
Ⅳ. 경주양식 토기 문화권 내
교통로 복원
Ⅴ. 조선 후기 염도와의 비교를
통한 검증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상혁(Ko, SangHyuk). (2022).신라토기 경주양식 분포권과 교통로. 한국상고사학보, (), 87-112

MLA

고상혁(Ko, SangHyuk). "신라토기 경주양식 분포권과 교통로." 한국상고사학보, (2022): 87-1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