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혼인의 정치학적 측면에서 본 티베트의 귀족(貴族)사회와 혼인문화

이용수 0

영문명
Marriage Culture of Tibetan Noble Families
발행기관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저자명
심혁주(Hyuk-Joo Sim)
간행물 정보
『아태연구』제19권 제2호, 105~12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8.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근대까지 티베트사회에서 ‘정교합일(政敎合一)’을 유지했던 동력과 실체는 다음의 3가지 방면에서 이해 할 수 있다. 첫 번째, 정교합일의 수장인 달라이 라마와 그의 측근인 고위 승려집단들이다. 두 번째는 티베트의 정치와 종교문화를 기획하고 구성할 수 있는 막강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던 불교사원이다. 세 번째는 티베트 귀족가문의 세력집단이다. 그런데 구(舊)티베트사회(1951년대 이전)는 3대 영주, 즉 관가(官家)와 귀족 그리고 불교사원의 고위 승려집단들이 지배계층을 형성하였고 티베트사회를 이끌고 있었는데 이들의 인구는 전체의 5%밖에 안 되었다. 이 중에서 귀족계층은 티베트의 문화와 정치를 창조하고 경제를 주도하는 실질적인 파워집단이었다. 역사적으로 티베트의 귀족집단은 네 부류의 계층을 형성하고 있었는데 다음과 같다. 첫 번째가 ‘아계’(亞谿)가문이다. 이들은 달라이 라마의 부모와 판첸 라마의 가족으로 구성된 ‘황금(黃金)귀족’을 말한다. 두 번째는 ‘제본’(第本)가문이다. 이 가문의 특징은 전통적이며 권위적인 혈통의 세습인데 티베트 귀족사회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집단이다. 세 번째는 ‘미찰(米扎)’가문이다. 이 가문의 특징은 당시 티베트 지방정부(噶廈)의 대신(噶倫)을 장악하고 있었다는 점이며 가문의 안정성과 신분의 유지를 위해 비슷한 가문끼리의 혼인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당시 이러한 혼인문화는 아계가정을 제외한 다른 귀족계층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혼인의 정치적 이라는 보편적 정서를 촉발하였다. 마지막으로 일반귀족(貴族)들인데 이들은 스스로의 노력으로 자수성가하여 경제적 부(富)를 축적하여 귀족세계에 진입한 소규모의 가문들이다. 본문에서는 이들 귀족가문의 혼인 형태와 가치관 그리고 혼인의 목적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는 티베트에서 일반 농민과 농노의 혼인문화와의 차이점을 부각시켜 당시 귀족가문의 혼인이 매우 정치적이었음을 밝히고자 함이며 추가적으로 왜 그래야만 했는지에 대한 당시의 사회적 배경을 가늠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Following three aspects will help understand the power and the truth of how Tibetan society maintains its unity of religion and politics until modern times. First, it is Dalai Lama, the head of the unity of religion and politics, and high-ranking monks who are close to Dalai Lama. Second, it is Buddhist temples that hold strong influence to design and construct Tibetan politics and religious culture. Third, it is a power block of Tibetan noble families. However, the previous Tibetan society before 1951 formed the ruling class comprised of three types of lords, including government officials of a feudal local government, the nobles, and the high-ranking lamas of Buddhist temples, and their population only accounted for 5% of the total population. Among them, the aristocracy was the actual power group that created Tibetan culture and politics and took the lead in economy. Historically, the Tibetan aristocracy formed four types of classes as follows. The first class is Yabshi family. They are called "Golden aristocrats"consisted of parents of Dalai Lama and a family of Panchen Lama. The second class is Depon family. This family, the most influential group in Tibetan noble society, is traditional and authoritative and passes one power to blood-related descendants. The third class is midak family. This family used to dominate ministers of then Tibetan local government and actively pushed forward marriage among similar families to maintain families’ stability and status. At the time, this marriage culture affected other noble classes except for Yabshi family and led up to the universal sentiment that recognizes politicization of marriage. Lastly, although they are ordinary nobles, they are small self-made families that accumulated economic wealth by their own efforts and entered into the world of nobles. This article will analyze the noble families’ marriage forms, values, and marriage purposes. The analysis intends to reveal that the marriage of then noble families was extremely political by highlighting the difference from the marriage culture of common peasants and serfs in Tibet and additionally estimate the social background at the time to see reasons of the politicization of the marriage.

목차

Ⅰ. 서론
Ⅱ. 혼인의 정치학
Ⅲ. 티베트의 귀족사회
Ⅳ. 티베트 귀족의 혼인문화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심혁주(Hyuk-Joo Sim) . (2012).혼인의 정치학적 측면에서 본 티베트의 귀족(貴族)사회와 혼인문화. 아태연구, 19 (2), 105-129

MLA

심혁주(Hyuk-Joo Sim) . "혼인의 정치학적 측면에서 본 티베트의 귀족(貴族)사회와 혼인문화." 아태연구, 19.2(2012): 105-1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