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인민지원군 철군의 원인과 중·북 관계

이용수 2

영문명
The Reason for Withdrawal of the Chinese People's Volunteers and China-North Korea Relations
발행기관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저자명
한상준(Sang-Jun Han)
간행물 정보
『아태연구』제19권 제2호, 5~39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8.31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58년 10월, 중국인민지원군은 북한에서 최종적으로 철군하였다. 기존의 학계는 중국인민지원군 철군 문제를 1950년대 중반 이후 중·북 관계를 이해하는 중요한 사건으로 주목하면서 일정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연구는 사료의 한계로 인하여 철군이 실제로 결정됐던 정확한 시기를 밝힐 수 없었고, 철군의 원인과 배경을 중·북 관계의 측면에서만 분석했기 때문에 중국인민지원군 철군에 관한 종합적인 이해가 미흡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새로운 사료를 바탕으로 1956년 말 북한이 먼저 철군요구를 제기하여 중국이 철군을 결정했다는 사실을 밝히고, 중·북 관계를 전체 사회주의 진영의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검토함으로써 중국인민지원군 철군에 관한 이해의 지평을 넓혔다. 당시 북한이 중국인민지원군의 철군을 요구했던 주요 원인은 1956년 ‘8월 종파사건’으로 인한 중·소의 공동 내정간섭과 1956년 11월 소련군에 의한 헝가리 정권의 붕괴가 북한에 끼친 영향과 충격으로부터 기인하였다. 반면, 중국이 중국인민지원군의 철군을 결정했던 주된 까닭은 중·북 갈등이 고조되는 것을 방지하여 동북아 국제정세의 안정을 추구했기 때문이었고, 또한 북한이 사회주의 진영을 이탈하거나 중·소와 대립하여 독자노선을 추구하는 것을 막기 위함이었다. 한편, 철군문제를 둘러싼 중·북의 입장은 양국 간 상호신뢰가 견고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그대로 보여주었다. 중·북은 표면적인 우호·협력 관계와는 상반되게 서로를 불신하고 의심하였으며, 철군문제에 있어 북한은 정권의 안위를 우선적으로 고려했고 중국은 국익의 관점에서 사안을 판단하였다. 따라서 중·북은 적어도 철군문제에 관하여 양국이 긴밀히 연결되어 서로의 이해를 같이하는 ‘순치상의(脣齒相依)’적 관계는 분명히 아니었다.

영문 초록

At the end of 1956, North Korea demanded China to withdrawal the Chinese People's Volunteers from North Korea. Two reasons for North Korea's request for the withdrawal could be presented as follow: First, it was due to the intervention of China and the Soviet Union in "August incident" of 1956. North Korea held grievance against China after the intervention; Second, on November 1956, the collapse of Imre Nagy regime of Hungary by Soviet military forces had an effect on North Korea to require the withdrawal of the Chinese People's Volunteers. Around the end of 1956, China agreed to withdraw the Chinese People's Volunteers. There were two major reasons why China had decided to withdraw the troops. First, China wanted to avoid any conflict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and tried to pursue stability in Northeast Asia. Second, China suspected that North Korea might have left the social camp, or been in conflict with China and the Soviet Union to take her own line. The withdrawal of the Chinese People's Volunteers was executed in 1958, but, in fact, the decision of the withdrawal was made in 1956. The issues surrounding the troop withdrawal clearly indicate that China and North Korea did not keep a cordial relationship that one may easily imagine. On the contrary, China and North Korea distrusted each other. In the matter of the troop withdrawal, North Korea had to consider the safety of its own regime, and China considered the issue from the perspective of its own national interests. In this respect, China and North Korea did not maintain relationship of the "lips and teeth" at least.

목차

Ⅰ. 서론
Ⅱ. 한국전쟁 이후 중국의 외교노선과 대북 정책
Ⅲ. 1956년 ‘8월 종파사건’과 중·소의 공동 간섭
Ⅳ. 1956년 10~11월 폴란드·헝가리사태와 중국의 외교활동
Ⅴ. 북한의 중국인민지원군 철군요구와 중국의 동의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상준(Sang-Jun Han) . (2012).중국인민지원군 철군의 원인과 중·북 관계. 아태연구, 19 (2), 5-39

MLA

한상준(Sang-Jun Han) . "중국인민지원군 철군의 원인과 중·북 관계." 아태연구, 19.2(2012): 5-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