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고탑회귀설’로 살펴본 18~19세기 조선의 서북 경계

이용수 52

영문명
The northwest boundary of Joseon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examined through the ‘The Rumor of Manchurian return to Ningguta’
발행기관
한국몽골학회
저자명
허우범(Her, Woo-Bum) 복기대(Bok, Gi-Dae)
간행물 정보
『몽골학』제70호, 49~7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는 조선의 국경을 현재의 압록강과 두만강까지로 알고 있고「대동여지도」도 그렇게 표시하였다. 하지만『대동지지』의 평안도 행정구역에 기록된 경위도를 살펴보면「대동여지도」와는 많은 차이가 있다. 필자는 이러한 차이에 의문을 가지고 관련 사료와 여러 지도 등을 참고하여 19세기 조선의 서북 경계를 검토해보았다. 그 결과,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압록강보다 훨씬 위쪽인 중국의 요녕성과 길림성 지역이 포함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프랑스 지리학자인 당빌이 1737년에 제작한「조선왕국전도」등에 보이는 경계와도 거의 흡사함을 알 수 있다. 조선 후기에 제작된 여러 지도에서 보이는 평안도 행정구역들의 위치는 모두 압록강 아래쪽에 표시되어 있다. 이는 조선이 국경지역을 비워두는 공한지 정책에 따라 이 지역의 행정 치소들이 압록강 아래로 이동한 이후에 제작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하지만 행정 치소의 이동이 곧 영토의 축소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조선의 국경이 현재의 압록강과 두만강을 잇는 한반도라는 주장은 대일항쟁기에 일본학자들이‘반도사관’을 수립하고 우리의 국경사를 왜곡한 것이다. 19세기 조선의 서북 국경이 현재의 압록강 너머까지 포함하였다는 사실은 고려의 국경은 물론, 18세기 초, 청이 확정한 압록강과 토문강의 위치를 다시 살펴보아야 하는 문제들과도 연결되는 것이다.

영문 초록

Joseon thought that if the Qing Dynasty declined, they would return to their original hometown, Ningguta.(寧古塔) At this time, their return route must pass through the northwestern border of Joseon, so they thought about defense against it. This ‘The Rumor of Manchurian return to Ningguta’ continued for over a hundred years from the time of King Sukjong. Joseon’s greatest concern was that the Qing Dynasty returned to Ningguta, attacking private houses on the northwestern border of Joseon and usurping their food. Therefore, the Joseon Dynasty had to make a thorough defense against it. The traffic route from Beijing, the capital of the Qing Dynasty, to Ningguta is the route through Sanhaiguan, Gaewon, and Jilin. A faster way is to go from Shenyang, passing between the Longgang Mountains(龍崗山脈) and the Huifahe(輝發河) area to reach Ningguta. However, if the present Yalu River is the northwestern border of Joseon, it all passes through a road far from Pyeongan-do of Joseon. In other words, it does not match the records of historical that say, “The direct road from Shenyang to Ningguta is very close to the northwestern part of Joseon.” In another paper, I have reviewed the latitude and longitude recorded in the Cheongbuk region of Pyongan Province in 『Daedongjiji』 and argued that the northwestern part of Joseon included the present-day Liaoning and Jilin provinces in China. This northwest boundary of Joseon can be seen more clearly when compared with the Manchurian return to Ningguta. In other words, the northern border issue that Joseon had been contemplating for over a hundred years did not stem from a vague hatred for the barbarian Qing Dynasty, but because it was the northwestern boundary of Joseon including the present-day Liaoning and Jilin Provinces in China. Therefore, it was a concern about the very realistic and urgent national task that Joseon faces.

목차

1. 머리말
2. 연구사 검토
3. 18세기 조선의 국제정세 인식
4. 19세기 조선의 서북 경계 고찰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우범(Her, Woo-Bum),복기대(Bok, Gi-Dae). (2022).‘영고탑회귀설’로 살펴본 18~19세기 조선의 서북 경계. 몽골학, (), 49-74

MLA

허우범(Her, Woo-Bum),복기대(Bok, Gi-Dae). "‘영고탑회귀설’로 살펴본 18~19세기 조선의 서북 경계." 몽골학, (2022): 49-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