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원삼국~백제 한성기 중부 동ㆍ북부지역 적석분구묘의 재인식

이용수 371

영문명
Re-recognition of the Stone Mound Tomb in the Central Eastern and Northern Regions of the Proto-Three Kingdoms and Baekje Hanseong Period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김진영(Kim Jinyoung)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123號, 5~51쪽, 전체 4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31
8,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의 목적은 임진강과 북한강, 남한강 수계를 따라 분포하는 중동ㆍ북부지역 적석분구묘의묘ㆍ장제를 명확히 이해하고, 이에 따라 구조형식을 설정하여 계통을 추적하고 축조시기를 검토하여 중동ㆍ북부지역 적석분구묘의 성격을 재정립하는데 있다. 그 결과 기존 고구려 적석총의 묘ㆍ장제 개념이 투영된 무기단과 기단식의 무덤 분류체계는중동ㆍ북부지역 적석분구묘의 구조적 특성을 제대로 담아내지 못하여 적절하지 못하다. 이에 서울 석촌동의 ‘방단층계형 연접분식’과 대비되는 ‘타원대형 연축곽식’과 ‘장방대형 성토보축식’으로 분류하여 사용할 것을 제시하였다. 무덤의 계통은 묘ㆍ장제상 고구려, 백제와 관련이 없으며, 예계의 특정 종족에 모두 귀속되지 않는다. 독창적 묘ㆍ장제를 나타내는 타원대형 연축곽식은 현지에서 창출된 것이고, 장방대형 성토보축식은 특수한 환경속에서 백제 중앙의 방단형계 적석분구묘와 현지의 타원대형 연축곽식 무덤의 요소가 결합된 복합계통의 무덤이라 판단된다. 축조시기는 타원대형 연축곽식의 경우 대체로 3세기 전반에는 출현하여 백제 횡혈식석실이지방에 확산되는 4세기 후엽경에는 소멸된 것으로 보인다. 다만 묘곽의 연축과정과 출토유물의위치를 고려하면 출현시기는 3세기 이전으로 상향시킬 여지를 두지만 큰 시기 차는 없을 것이다. 반면 장방대형 성토보축식은 타원대형 연축곽식 무덤보다 후행하는 것으로 4세기 중엽∼5세기초에 출현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중동ㆍ북부지역 적석분구묘의 묘ㆍ장제적 특징과 연대는 향후 중부지방 고대 정치체의성격과 백제의 성장과정을 밝히는 새로운 시각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learly understand the grave ceremonies of the Stone Mound Tomb in the central eastern and northern regions distributed along the Imjin and Han Rivers. The goal is to determine their structural forms, trace their lineage, and review the construction period to examine and thus re-establish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one Mound Tomb in the central eastern and northern regions. For this purpose, it was inappropriate to utilize the tomb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traditional Goguryeo Stone Mound Tomb’s concepts of a grave and burial, which are related to the existence of a stairway. This is because these concepts do not properly captur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tone Mound Tomb in the central eastern and northern regions. Hence, the Stone Mound Tomb was categorized into an “oval shape” and “quadrangle construction” as it was in contrast with the “rectangular type of construction” observed in Seokchon-dong, Seoul. The lineage of the tombs is not related to Goguryeo or Baekje, nor does it belong to a specific tribe called Yegye. The oval twisted-coffin type tomb representing the original tomb and burial ceremony were generated locally. Further, the rectangular burial Stone Mound Tomb type was examined as a complex type of tomb that illustrates all the elements of the square type Stone Mound Tomb in the central Baekje region and the oval tomb type in the central eastern and northern regions. Moreover, the elliptical frame type seems to have appeared in the first half of the third century and disappeared around the late fourth century. On the other hand, the rectangular type of tomb was constructed temporarily from the middle of the four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fifth century, following the oval-shaped concentric-walled tomb. It is expected that these characteristics and dates of the Stone Mound Tomb in the central eastern and northern regions will provide new perspectives on the nature of the ancient political body in the central region and the growth process of Baekje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분포와 조사현황
Ⅲ. 곤지암리ㆍ아우라지 적석분구묘의 묘ㆍ장제
Ⅳ. 선행 발굴 자료의 재검토
Ⅴ. 중동ㆍ북부지역 적석분구묘의 구조형식과 계통, 연대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진영(Kim Jinyoung). (2022).원삼국~백제 한성기 중부 동ㆍ북부지역 적석분구묘의 재인식. 백산학보, (), 5-51

MLA

김진영(Kim Jinyoung). "원삼국~백제 한성기 중부 동ㆍ북부지역 적석분구묘의 재인식." 백산학보, (2022): 5-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