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철제 농공구를 통해 본 다호리유적

이용수 111

영문명
Dahori remains in East Asia seen through iron agricultural tools
발행기관
부산고고학회
저자명
김동일(Kim, Dong Il)
간행물 정보
『고고광장』30권, 39~74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다호리유적의 철제 농공구를 통해 유입과정과 유통 문제를 연구한 논문이다. 이를 위해 우선 다호리유적의 시간성을 파악하고, 다음으로 철제 농공구의 조형과 유통 과정을 설명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다호리유적을 비롯하여 한반도로의 철제 농공구 유입 과정에 집중하였다. 다호리 유적의 시간성을 파악하기 위해 우선 위만조선과 월성동유형의 시간성, 그리고 검파두식의 시간성을 검토하였다. 이어 다호리유적 출토 주머니호 등 토기의 변천을 기본으로 하여, 여러 공간 유물의 연대, 무덤의 배열관계 등을 바탕으로 다호리유적의 각 단계를 설정하고, 그 연대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다호리유적은 총 4단계로 구분이 가능하고, Ⅰ단계가 기원전 2세기 중반부터 후반까지이며, Ⅱ단계는 기원전 2세기 말에서 기원전 1세기 전중반까지이다. Ⅲ단계는 기원전 1세기 중후반에서 말까지이고, Ⅳ단계는 기원후 1세기 이후이다. 철제 농공구가 한반도로 유통되는 과정은 초와 중산, 연 등의 자료를 검토한 후, 민영 장인과 민영 상인의 존재를 통해 그 과정을 추론하였다. 칠기의 중간 유통은 고조선(위만조서)이 담당하였고, 연계 철제 농공구는 민영에 의해 위만조선으로 유입되었으며, 이후 위만조선에 의해 재차 영남지역의 진·변한 집단으로 확산되었다고 판단한다. 유물의 유통 과정과 무덤 부장품에 대한 인식을 고려할 때, 다호리 집단은 외래계 철제 농공구가 다수 확인되지만, 중원의 관념을 따르지 않고, 고조선 혹은 한반도의 자체적인 관념에 따라 무덤을 조성하였다. 또한, 다호리유적의 피장자들은 철제 농공구를 주도적으로 받아들였으며, 자체적으로 철기 제작 기술을 발전시켰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a thesis that approaches the composition group of Dahori remains through iron agricultural tools. To this end, the temporality of the Dahori remains was first identified, the shaping and introduction process of iron agricultural tools was explained, and finally, the Dahori remains in East Asia were interpre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temporality of the Dahori remains, the temporality of the Wiman Joseon and Wolseong-dong type and the temporality of the Pommel Fittings were reviewed, then the timing of the formation of the Dahori remains was identified. Afterwards, based on the change of earthenware, such as the pocket-shaped jar excavated from the Dahori site, each stage of the Dahori remains was established depending on the period of various associated remains and the arrangement of the tombs, and then the period was identified. As a result, the Dahori remains can be divided into four stages: Stage Ⅰ- the second half of the 2nd century BC, Stage Ⅱ- end of the 2nd century BC to the middle of the 1st century BC, Stage Ⅲ- mid to late 1st century BC, and Stage Ⅳ- after the 1st century AD. The distribution process of iron agricultural tools was inferred through the review of data from countries such as Chu State, Zhongshan State, Yan State and through the existence of private artisans and private merchants. It is judged that Anciet Joseon was in charge of the intermediate distribution of ironware and particularly that iron agricultural tools belonging to the Yeonguk were brought into Wiman Joseon by private management, and then spread again to the Jinbyeon-han groups in the Yeongnam region by Wiman Joseon. Considering the distribution process of remains and their recognition as tomb burials, the Dahori group identified a large number of foreign iron agricultural tools, but did not follow the notion of Zhongyuan, and built the tomb depending on the own conception of Anciet Joseon or the Korean Peninsula. In addition, the buried people of the Dahori remains took the lead in adopting iron agricultural tools and developed their own iron making technology.

목차

Ⅰ. 머리말
Ⅱ. 시간성검토
Ⅲ. 조형과 유통 문제
Ⅳ. 철제 농공구를 통해 본 다호리 유적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동일(Kim, Dong Il). (2022).철제 농공구를 통해 본 다호리유적. 고고광장, (), 39-74

MLA

김동일(Kim, Dong Il). "철제 농공구를 통해 본 다호리유적." 고고광장, (2022): 39-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