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단군신화 인식에 대한 역사적 고찰

이용수 89

영문명
A Historical Study on the Awareness on the Myth of Dangun
발행기관
바른역사학술원
저자명
김명옥(Kim, Myung Ok)
간행물 정보
『역사와 융합』제3호, 45~86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0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후 남·북한에서 단군신화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에 대한 연구다. 일제식민사학자들은 식민지배이데올로기로서 일선동조론을 창안한다. 한편 시라토리 구라키치는 일본 국체가 다른 나라의 영향 없이 유구한 존재로 형성되었다는 논리를 보증하기 위해 일선동조론을 비판하고 단군부정론을 만든다. 단군부정론은 두 가지다. 단군은 고려시대 불교의 영향을 받아만들어진 신화라는 것과 다른 하나는 주몽전설의 이본이라는 주장이다. 이에 민족사학자들은 단군부정론을 비판하며 역사적 실체로서 단군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해방 후 북한은 1960년대 초에 고조선의 중심지와 강역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고, 그 과정에서 단군신화도 연구되었다. 북한은 고조선의 건국신화로 단군신화를 인식했다. 그러나 90년대 사회주의권의 몰락으로 우리식 사회주의를 창안하면서 북한은 고조선의 중심을 평양으로, 고조선 건국시기를 30세기로 끌어올려정치적으로 이용하였다. 반면 남한의 강단사학계는 일제식민사학자들이 창안한 단군부정론을 그대로계승했다. 단군신화가 주몽설화 이본이라는 설과 묘향산의 산신 연기설화 혹은불교의 영향설을 그대로 추종한다. 한편 ‘단군의 역사성’이란 말로도 단군부정론을 호도했다. 고려와 조선시대에 이민족의 침략과 일제강점기처럼 나라와 민족이 위기에 처할 때마다 단군을 중심으로 결집하는데, 이것이 단군의 역사성이라는 것이다.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단군신화가 국가의 위기 때마다 호명되어 전승되는 것을 ‘단군의 역사성’이라고 한다. 강단사학계가 주장하는 ‘단군의 역사성’ 은 만들어진 단군신화가 ‘시대에 따라 어떻게 인식되었는가’, 즉 ‘단군신화 전승사’를 단군의 역사성이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nvestigated the awareness on the myth of Dangun in the South and North Korea during the colonial era and after the liberation. Pro-Japanese historians created the theory ‘common ancestry of Japanese and Koreans’ as the ideology of colonialization. Shiratori Kurakichi criticized the ‘common ancestry of Japanese and Koreans’ and created the Dangun denialism to support that the national constitution of Japan was formed as the immoral existence without any influence from other countries. Dangun denialism is classified into two assetions: assertion that Dangun was the myth made by the influence of Buddhism during Goryeo period; and assertion that Dangun was the different version of the Jumong tale. then, the nationalism historians criticized the Dangun denialism and started the research on Dangun as the historic existence. In early 1960s after liberation, the research on the hub and territory of Gojoseon started and in that process, the myth of Dangun was also investigated. North Korea recognized the myth of Dangun as the birth myth of Gojoseon. However, as the Korean-style socialism was generated with the collapse of socialistic bloc in 1990s, North Korea utilized the myth of Dangun for political purposes by insisting that the hub of Gojoseon was Pyeongyang and Gojoseon was founded in 30 A.D. On the contrary, the school historians in South Korea inherited the Dangun denialism created by Pro-Japanese historians without any reluctance. They followed the view that the myth of Dangun was the different version of the Jumong tale and the view that it was the guardian spirit tale of Myohyangsan mountain or influence of Buddhism. Meanwhile, Dangun denialism was mislead by the word ‘historicity of Dangun’. When Koreans were united around Dangun whenever the country and people came to a crisis including invasion by other countries during Goryeo and Joseon period and Japanese colonial rule, it was mislead as the ‘historicity of Dangun’. It was mentioned as ‘the historicity of Dangun’ that the myth of Dangun generated during the Goryeo period was summoned whenever the country was in danger and inherited. The ‘historicity of Dangun’ insisted by the school historians is the ‘transmission history of the myth of Dangun’, that is, ‘how the myth of Dangun created during the Goryeo period was recognized depending on the periods’.

목차

1. 여는 글
2. 일제 강점기 단군신화 인식
3. 북한, 단군의 역사성 논증
4. 남한, 단군 역사성의 허구
5. 닫는 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명옥(Kim, Myung Ok) . (2018).단군신화 인식에 대한 역사적 고찰. 역사와 융합, (), 45-86

MLA

김명옥(Kim, Myung Ok) . "단군신화 인식에 대한 역사적 고찰." 역사와 융합, (2018): 45-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