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 여성의 초국적 모성과 혼종성

이용수 88

영문명
Transnational Motherhood and Hybridity of North Korean Women Migrants in South Korea
발행기관
한국가족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34집 2호, 128~157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여성들이 북한과 중국, 그리고 남한 세 지역 출신의 자녀들에게복합적으로 초국적 모성 실천을 하면서 혼종적인 정체성을 형성하고 있음을 밝히고 그 혼종성이 갖는 의미를 해석하였다. 여기서 혼종성(hybridity)이라는 개념은 정체성의 문제를 새롭게 바라보는 관점이자 동시에 분석 도구로 북한이탈주민 여성들이 어머니 정체성을 형성하는과정이 남한 사회에서 이주어머니이자 국민어머니로서 사이에 낀 위치성에서 교섭들을 통해새로운 정체성들을 형성해간다는 측면을 해석할 수 있게 한다. 이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주민여성들의 초국적 모성 실천과 관련하여 형성되는 혼종성을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해석하였다. 첫째, 북한이탈주민 여성들은 북한, 중국, 남한의 복수의 모성 규범을 동시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북한이탈주민 여성들은 각 지역에 두고 오거나 데리고 온 자녀와의 관계 속에서 북한, 중국, 남한 각각을 순수하게 분리할 수 없으면서도 각 지역의 출생 자녀들에 대하여 그 지역의 모성 규범에 따르는 실천들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다. 북한이나 중국 자녀와의 거리 조절을 통해 그 지역의 모성 규범에 맞게 어머니로서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남한 출생 자녀에게는남한의 모성 규범을 모방하여 모성을 실천하는 혼종적인 정체성을 보여준다. 둘째, 북한이탈주민 여성들은 자신들의 모성 실천이 남한의 정상 가족 모델에서 특수한 범주나 예외적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음을 경계한다. 오히려 자신들의 초국적 모성 실천이 특수하거나 예외적인모성이 아니라고 의미화하면서 남한의 모성과 남한에서의 어머니 노릇을 상대화하여 바라보는 위치를 생산한다. 그리고 북한, 중국, 남한 출생 자녀들을 동시에 키우면서 낀 위치에 있는북한이탈주민 여성들의 모성 실천은 남한 사회의 정상 가족 담론을 상대적으로 비추어 정상적인 것을 구성하는 방식에 틈새를 내는 혼종적 정체성을 발현시킨다. 북한이탈주민 여성들의 초국적 모성 실천은 정상적이며 객관적인 것으로 상상되는 정상가족, 국가, 민족, 분단의경계는 재구성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transnational mothering and hybridity of North Korean migrant women in South Korea who practice the transnational mothering simultaneously in North Korea, China, and South Korea. It argues that these mothers have been constructing a hybrid identity through interaction with their children in the three regions, while negotiating their social status and interests in local contexts. In this research, hybridity is both a theoretical and an analytic concept, focusing on the construction of identity. It makes it possible to interpret the process of creating the in-between position and identity as both migrant and national mothers. First, North Korean migrant women try to learn the norms of motherhood in China, North Korea, and South Korea. They have transnational relationships with their children in two or three regions simultaneously and utilize different motherhood practices regarding the origin and residence of their children. Second, North Korean migrant women pay attention so that their multiple mothering is not regarded as unusual or exceptional in South Korea. South Korean women are careful about their multiple mothering not being seen as unusual or exceptional in South Korea. Even though North Korean migrant women perform an imitation of the mothering practices of South Korean women, they recognize that they cannot identify themselves as South Korean mothers. However, an in-between position is created, where the South Korean family model could not be natural or superior compared to that of other count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ir hybrid identity, formed by multiple mothering practices in two more regions, objectifies the normal family model and motherhood in South Korea.

목차

Ⅰ. 서론
Ⅱ. 기존 연구 검토 및 연구방법
Ⅲ. 경계를 넘나드는 삶 속에서 모성-가족-국가, 그리고 혼종성
Ⅳ. 북한이탈주민 여성들의 어머니 노릇과 혼종성의 의미
Ⅴ.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북한이탈주민 여성의 초국적 모성과 혼종성. 가족과 문화, 34 (2), 128-157

MLA

. "북한이탈주민 여성의 초국적 모성과 혼종성." 가족과 문화, 34.2(2022): 128-1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