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정폭력 피해 여성의 주거 이동 경험과 맥락에 관한 연구

이용수 76

영문명
A Study on Battered Women’s Residential Mobility Experience and its Context : An Incomplete Struggle Towards ‘a Room of One’s Own’
발행기관
한국가족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34집 2호, 1~59쪽, 전체 5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9,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가정폭력 상황에서 가해자는 원 거주지에 남고, 피해자가 주거를 상실하는 경험을 이해하고자 피해 여성의 주거 이동 경험과 맥락을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방법을활용하여 17명의 연구 참여자(가정폭력 피해 여성 12명, 종사자 5명)와 심층면접을 하였다. 분석결과, 여성의 주거 이동은 가해자의 강압적인 통제를 벗어나‘자기만의 방’을 만들어가는불완전한 분투의 여정이었다. 그러나 기존의 피해자 지원체계는 집을 남성의 소유로 상정하며, 여성들이 생존을 위해 피해의 장소에서 탈출할 것을 전제로 작동하고 있었다. 때문에 여성들의 탈출은 거처를 포함하여 삶의 기반의 상실로 이어졌다. 이들은 다른 선택지가 없이‘시설’로 진입하지만, 시설의 규칙과 퇴소 규정은 여성들에게 시설이 일시적 거처일 뿐임을명확하게 한다. 그렇기에 시설은 온전한 집이 될 수 없었다. 퇴소 후 가해자에게 돌아가지 않기 위해서는 독립적인 거처를 확보해야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여성들은 가해자의 경제적폭력, 단절된 노동 경험, 제한된 지원 속에서 열악한 주거 공간으로 진입하였다. 이는 가정폭력이 궁극적으로 여성의 주거 상실과 불안정한 주거 이동으로 야기하는 주거권을 침해하는문제임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후 안정적인 주거 확보를 위한 정책적, 실천적 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battered women’s experience of residential mobility and the context in which such experience occurs. A gener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An inductive thematic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in-depth interview data. Results showed that residential mobility is not about simply achieving a physical separation from perpetrators but reflects a greater journey toward finding ‘a room of one’s own’ as a place where the women could live fully in her own, being, free from the perpetrator’s coercive control. It was also revealed that the experience of moving to insecure or inadequate housing in this process was a problem caused by domestic violence, rather than women’s choice to leave home. This study shows the significant role the housing problem plays in the entire process of ending violence, while highlighting the socio-structural context makes the transition to and settlement in stable housing challenges. Future directions for policy and practical applications of the current finding a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가정폭력 피해 여성의 주거 이동 경험과 맥락에 관한 연구. 가족과 문화, 34 (2), 1-59

MLA

. "가정폭력 피해 여성의 주거 이동 경험과 맥락에 관한 연구." 가족과 문화, 34.2(2022): 1-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