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수실재감 및 학습실재감을 높이기 위한 Ontact PBL 개발 및 적용 사례 연구
이용수 40
- 영문명
- Case study of Ontact PBL Development and Application to Improve Teaching Presence & Learning Presence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기독교교육 논총』제70집, 303~337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간 대면 접촉이 없는 환경에서 교수-학생간 실재감 인식을 높일 수 있는 상호작용적 요소를 강화한 Ontact PBL을 구현하여 이제 갓 대학을 입학한 대학생들이 1학년 1학기 교양 교과목에서 비대면 수업 환경에서 학습자가 중심의 협력학습을 수행해야 하는 PBL 수업을 통해 교수실재감 및 학습실재감이 향상되었는지 살펴보며, 실재감이 향상된 수업 사례를 제시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이 수업은 2021년 1학기 Ontact PBL을 설계 및 개발하여 운영하였으며, 해당 수업을 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수실재감 및 학습실재감을 진단하여 실제로 수업을 통해 교수실재감은 평균 0.95점 유의미하게 향상되어, 학습실재감보다 많이 향상되었고, 이는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성찰 저널에서도 관련 의견이 많아 교수실재감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학습실재감도 효과가 있었는데, 학습실재감의 하위요소인 감성적 실재감은 0.7점, 사회적 실재감은 0.5점, 인지적 실재감은 0.6점 가량 유의미하게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학습실재감 또한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성찰을 확인하여, Ontact PBL이 실재감 향상에 효과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향후 Ontact PBL의 실재감 향상 요인 연구, Ontact PBL을 통한 학생 역량 향상 연구 등을 후속 연구로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alize Ontact PBL that can sufficiently contain interactive elements that can increase the perception of reality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in an environment without human contact. This is a class designed, developed, and operated ontact PBL for the first semester of 2021. As a result of diagnosing the realism of teaching and learning for students who took the class, the average teaching realism improved significantly by 0.95. This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sense of realism in teaching as there were many related opinions in the reflective journal on students' classes. In addition, there was an effect on learning presence, and it was confirmed that emotional presence, which is a sub-element of learning presence, significantly improved by 0.7, social presence by 0.5, and cognitive presence by 0.6. Learning presence also confirmed the students' reflection on the class, and it was possible to judge that Ontact PBL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ense of presence.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연구 결과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대상관계이론에서 본 관계중독과 회복에 대한 사례연구: Fairbairn과 Winnicott 이론을 중심으로
- 학교 적응이 어려운 초등학교 6학년 남아의 인지 행동 놀이치료 사례연구 :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문제해결력(PSI), ‘양떼를 지켜라’ 문제 해결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 애착 외상을 가진 내담자의 정신화를 위한 통합적 심리치료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비자발적 철수 후 새로운 선교지로 재파송된 선교사들의 경험연구
- 출산과 양육을 경험한 여성의 자아실현 지속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상담수련 중인 한 목회자 아내의 자기분화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