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호모 크레토스를 지향하는 기독교교육
이용수 68
- 영문명
- Christian Education Aiming for Homo Creators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기독교교육 논총』제70집, 141~173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술혁명의 흐름 속에서 비인격화를 조명하며 새로운 인간상을 지향하는 기독교 인격 교육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기계시대의 기술과 인간의 진화적 흐름에 적응하고 중재하며 대안을 제시하는 기독교 인격 교육을 나타낸 것이다. 이를 위한 교육목적은 기술혁명시대의 새로운 인간상으로 제시된 창조적 인간, ‘호모 크레토스’ (Homo Creators)를 지향하는 것이다. 교육 목표는 창조적인 해석과 학제간의 창조적 통합과 탈기계ㆍ탈인습 패러다임의 인격적 대화를 통해서 창조적 인간을 양육하는 것이다. 교육 내용은 탈기계와 탈인습의 특징을 통섭하는 인격 대화이다. 교육 방법은 기술의 시스템적 사고와 인격 대화가 실현되도록 에듀테크(Edu-Tech), AIED(교육 분야의 인공지능)를 활용한다. 또한, 교사와 학습자, 교육 환경과 교육 평가에 대한 구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기독교교육학의 관점에서 기술혁명시대 인간의 정체성을 규명하고, 새롭게 창조적 인간상에 관한 연구를 시도한 것이며, 이것을 지향하는 기독교 인격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데 있다. 이것은 기술혁명시대를 수용하면서도 인간의 본질적 특성을 중시하는 기독교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minate depersonalization in the flow of technological revolution and to present a Christian SARAMDAUM education that aims for a new human image. It represents the Christian SARAMDAUM education that adapts to, mediates, and offers alternatives to the technological and human evolutionary flow of the machine age. The purpose of education for this purpose is to aim for ‘Homo Creators’, creative human beings presented as a new human image in the age of technological revolution. The educational goal is to nurture creative human beings through creative interpretation, creative integration between disciplines, and personal dialogue in the post-machine/post-conventional paradigm. The content of the education is a conversation with the SARAMDAUM that consiliences the characteristics of post-machine and post-convention. The educational method utilizes Edu-Tech and AIED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 to realize systemic thinking and SARAMDAUM dialogue of technology. In addition, the composition of teachers and learners, educational environment and educational evaluation is present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from the point of view of Christian education, the identity of human beings in the era of the technological revolution has been identified, and research on the creative image of the human being is newly attempted, and the direction of Christian character education aimed at this is presented. This can be said to be a Christian education that emphasizes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human beings while accommodating the era of technological revolution.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기술혁명과 인격교육의 현황
Ⅲ. 기술혁명시대를 위한 인격교육의 신학적 근거
Ⅳ. 호모 크레토스를 지향하는 기독교 인격교육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대상관계이론에서 본 관계중독과 회복에 대한 사례연구: Fairbairn과 Winnicott 이론을 중심으로
- 애착 외상을 가진 내담자의 정신화를 위한 통합적 심리치료
- 학교 적응이 어려운 초등학교 6학년 남아의 인지 행동 놀이치료 사례연구 :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문제해결력(PSI), ‘양떼를 지켜라’ 문제 해결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