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상추출방법을 이용한 고용창출형 선도산업의고용연관효과

이용수 9

영문명
The Employment Linkage Effects with Employment-Generating Key Industry Using Hypothetical Extraction Method(HEM)
발행기관
한일경상학회
저자명
나주몽(Jumong Na) 김일태(Iltae Kim)
간행물 정보
『한일경상논집』제70권, 199~22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2.28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최근 산업구조 변화에 따른 고용의 양태가 변화하고 있는 가운데 고용 관점에서 가상추출방법을 이용하여 고용연관효과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고용창출형 선도산업의 유형과 고용연관효과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실증분석 결과를 보면, 산업구조상에서 제조업보다는 서비스업이 고용계수가 높아 직접적인 고용창출 측면에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업구조상에서 제조업의 고용창출 규모 측면에서 총고용연관효과가 높은 산업은 전기 및 전자기기, 운송장비, 화학제품 순으로 나타났고, 서비스산업의 경우에 고용창출 규모 측면에서 총고용연관효과가 높은 산업은 도소매서비스, 건설, 운송서비스 순으로 나타났다. 연관유발계수는 제조업이 서비스업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연관유발효과 측면에서는 제조업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고용창출에서 직접효과계수와 총고용연관효과의 계수가 평균 이상인 고용창출형 선도산업의 유형은 제조업의 경우에 음식료품, 섬유 및 가죽제품, 목재 및 종이인쇄, 기계 및 장비, 정밀기기, 기타 제조업부문으로 나타났고 서비스업의 경우에 도소매서비스, 음식점 및 숙박서비스,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 사업지원서비스, 교육서비스,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 문화 및 기타 서비스 부문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paper measures employment linkage effects using Hypothetical Extraction Method(HEM) and explores types of leading key industry with employment gene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employment effects when the aspects of employment has been changed due to recent industrial structure changes. This paper shows that the coefficient of employment of service sector is higher than that of manufacturing sector and then service sector is competitive in terms of direct job creation. In terms of employment size in manufacturing sector, high total employment linkage effects order in industry is expressed as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transportation equipment, and chemical products. In case of service sectors, in terms of employment size, high total employment linkage effects order in industry is listed as wholesale and retail services,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services. This paper also reveals that in employment generation of manufacturing industry, types of leading key industry associated with job creation which has coefficients of direct effects and total employment linkage effects above average are represented as food and beverage, textile and leather products, wood, paper and printing, machinery and equipment, precision instruments, and other manufacturing sectors. In service sectors, types of leading key industry associated with job creation are displayed as wholesale and retail services, food and beverage services, science and technology services, business support services, education services, health and social welfare services, culture and other service secto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검토와 분석모형
Ⅲ. 고용의 산업구조 변화와 고용구조
Ⅳ. 실증분석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나주몽(Jumong Na),김일태(Iltae Kim). (2016).가상추출방법을 이용한 고용창출형 선도산업의고용연관효과. 한일경상논집, 70 (1), 199-222

MLA

나주몽(Jumong Na),김일태(Iltae Kim). "가상추출방법을 이용한 고용창출형 선도산업의고용연관효과." 한일경상논집, 70.1(2016): 199-2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