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제2차 세계대전 이전 일본 자동차부품 산업 연구

이용수 18

영문명
Research on Japanese Auto Parts Industry before World War II: Focusing on the Actual Conditions and Establishment Background
발행기관
한일경상학회
저자명
임천석(Im, Chon Sok)
간행물 정보
『한일경상논집』제87권, 154~178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5.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일본 자동차 산업의 도입, 수입대체기인 제2차대전 이전에 많은 부품기업이 설립되고, 발전하게 된 원인을 그 실태와 배경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1923년 관동대지진 발생이후의 자동차수입 확대와 1920년대 후반 이후 FORD, GM의 일본현지생산 확대에 따른 보유자동차수 증가가 많은 자동차부품기업의 설립을 촉진했다. 둘째, 자동차 수리기업이 축적된 기술, 경험을 바탕으로 자동차부품 기업으로 발전하였다. 셋째, 에도시대부터 재래형 금속기계, 금속공업 관련 기술을 보유한 많은 기업이 자동차부품 기업으로 발전하였다. 넷째, 자동차산업이 발달하기 이전에 철도관련 부품을 생산하는 기업들이 있었고, 이들 기업에서 축적된 기술이 자동차부품 생산 및 부품기업 설립의 확대를 가능하게 했다. 다섯째, 자동차부품공업 성립에 불가결한 철강, 기계 등 기반산업의 발달과 기술인력의 양성이 자동차생산이 본격화하기전에 군수를 중심으로 진행되었고, 이것이 자동차부품분야로 이전되어 많은 부품기업 설립을 가능하게 하였다. 여섯째, 일본정부의 국산 자동차산업 육성정책이 부품공업의 질적인 향상을 촉진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causes and backgrounds of many parts companies established and developed before the introduction of the Japanese automobile industry, which was an import substitution. The main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ansion of automobile imports after the Kanto Earthquake in 1923 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cars owned by FORD and GM’s local production in Japan since the late 1920s encouraged the establishment of many auto parts companies. Second, auto repair companies developed into auto parts companies based on accumulated technology and experience. Third, since the Edo era, many companies with technology related to conventional metal machinery and metal industry have developed into auto parts companies. Fourth, Before the development of the automotive industry, there were companies that produced railway-related parts, and the technology accumulated in these companies enabled the expansion of automobile parts production and parts companies. Fifth, the development of infrastructure industries, such as steel and machinery, and the development of technical manpower, which are indispensabl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auto parts industry, proceeded mainly in logistics before automobile production began in earnest. Sixth, the Japanese government’s policy to foster the domestic automotive industry promoted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the parts industry.

목차

Ⅰ. 서론
Ⅱ. 안행형태적(雁行形態的) 산업발전 이론에 따른 일본 자동차 산업의 시기구분
Ⅲ. 제2차 세계대전 이전 일본 자동차 부품산업 실태
Ⅳ. 일본 자동차 부품기업의 설립증가 배경
Ⅴ. 결론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천석(Im, Chon Sok). (2020).제2차 세계대전 이전 일본 자동차부품 산업 연구. 한일경상논집, 87 (1), 154-178

MLA

임천석(Im, Chon Sok). "제2차 세계대전 이전 일본 자동차부품 산업 연구." 한일경상논집, 87.1(2020): 154-1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