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반성장 제도로서의 성과공유제에 관한 연구

이용수 33

영문명
A Study on the Benefit Sharing System as a Win-Win Growth System: Consideration of the Japanese Vertical Keiretsu System
발행기관
한일경상학회
저자명
이형오(Lee, Hyungoh)
간행물 정보
『한일경상논집』제87권, 179~20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5.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동반성장의 대표적 제도인 성과공유제의 확산상황을 살펴보고, 일본의 수직계열시스템을 참고로 하여 그 제도 도입과 관련한 가설 및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먼저 성과공유제 관련 기존연구의 검토와 더불어 본 연구의 특징을 제시한 뒤 그 확산상황 및 확산에서의 한계점을 살펴본다. 그리고 일본기업들의 경험을 참고로 하여 중핵기업 제품의 국내성장성과 제품 아키텍처 특성이라는 두 개념을 활용한 가설들을 도출한다. 그 가설들에 따르면 성과공유제는 중핵기업 제품의 국내성장성이 높고 제품 아키텍처가 통합형인 경우에 효과적인 제도이다. 이러한 가설들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기업에 대한 시사점으로서는 중핵기업 및 공급업체는 중핵기업 제품의 국내성장성 및 제품 아키텍처 특성을 고려하여 선별적으로 성과공유제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또한 정부에 대한 시사점으로는 기업의 자발적 참여가 촉진되도록 성과공유제 운영상의 효과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는 점, 산업 및 기업의 상황을 고려하여 선별적으로 성과공유제를 확산시키고 이를 동반성장 평가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는 점, 나아가 네트워크형 산업구조 하에서도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개방형 성과공유제 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는 점 등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와 관련한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paper are to review the proliferation situation of the benefit-sharing system, a representative win-win growth system in Korea and to suggest hypotheses on the preconditions for the adoption of the system and related implications with consideration of the Japanese vertical Keiretsu system. This research at first reviews existing researches related to the benefit-sharing system while discus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is article, and examines the proliferation situation and limitations of the benefit sharing system in Korea. In addition, it reviews the experiences of Japanese firms and derives hypotheses on the preconditions for the system adoption utilizing two concepts, the domestic growth potential of product and the characteristics of product architecture in the core company of a supply chain system. According to the hypotheses, the benefit sharing system is effective when the growth potential of product is high and the product architecture is integral. Based on the hypotheses, this paper sugges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As to the core firm and its suppliers, it emphasizes that they had better selectively adopt the benefit sharing system considering the growth potential of product and the product architecture. As to the government, it underscores implications such as improving the operational effectiveness of the benefit-sharing system particularly facilitating voluntary participation of firms, executing selectively the proliferation of the system and its application in evaluating the win-win growth activities of firms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industries and firms, and developing open-type benefit-sharing models which are appropriate under network-type industry structures. Finally, it suggests future research topics related to this study.

목차

Ⅰ. 서론
Ⅱ. 기존연구 및 본 연구의 특징
Ⅲ. 성과공유제의 확산상황
Ⅳ. 성과공유제의 도입 조건
Ⅴ. 시사점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형오(Lee, Hyungoh). (2020).동반성장 제도로서의 성과공유제에 관한 연구. 한일경상논집, 87 (1), 179-204

MLA

이형오(Lee, Hyungoh). "동반성장 제도로서의 성과공유제에 관한 연구." 한일경상논집, 87.1(2020): 179-2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