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30년대 중국소설에 나타난 신여성 ‘아내’의 일면

이용수 40

영문명
Modern ‘Wife’ in the Novels from 1930s: Focus on Sunlight(阳光) of Lao She
발행기관
한국중국소설학회
저자명
崔銀晶(Choi, Eun-Jeong)
간행물 정보
『중국소설논총』중국소설논총 제65집, 153~174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30년대 중국소설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기 시작한 신여성 ‘아내’에 대한 부정적인 서술에 주목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특별히 老舍의 소설을 주요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老舍는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신여성 ‘아내’의 불량성을 짚어낸다. 하나는 전통적인 여성 역할을 수행하지 않거나 수행하지 못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인식과 행위의 불일치이다. 신여성 ‘아내’가 보여주는 인식과 행위의 불일치는 두 가지 방면에서 나타난다. 첫째, 신여성으로서 자신의 존재 가치를 인식하고 이를 추구하면서도, 주체성이 결핍되어 있다. 이는 남편에 대한 강력한 의존성으로 가시화되고 있다. 둘째, 남성적 지배 질서의 불합리를 인식하고 이에 대해 반감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그 지배 질서 안에서 부여받는 신분과 물질의 우월성을 욕망한다. 老舍의 시선에서 볼 때, 이러한 신여성 ‘아내’는 여성의 타자화된 내면의 견고성을 드러내는 장이며, 자발적으로 물질화된 존재이다. 한편, 신여성 ‘아내’에 대한 老舍의 부정적인 서술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의미를 내포한다. 하나는 근대에 대한 회의이다. 여학교와 여성교육은 근대를 상징하는 중요한 키워드였다. 老舍는 여학교가 ‘불량’한 신여성 ‘아내’를 배태하는 공간임을 지적하면서, 여학교와 여성교육에 대한 회의적인 시선을 표출한다. 다른 하나는 지식인 남성의 위축된 남성성을 보상하는 공간이다. 老舍는 물질이 결핍된 지식인 남성과 물질적으로 우월한 부르주아 남성 사이에 신여성을 배치한다. 신여성이 부르주아 남성을 남편으로 선택함으로써, 남성성(들)은 물질성/비물질성, 우월/열등으로 위계화된다. 이러한 위계관계는 부르주아 남성의 비윤리성이 폭로되고 신여성 ‘아내’가 불행해지면서 전복된다. 부르주아 남성의 비윤리성과 그를 택한 신여성 ‘아내’의 불행은 지식인 남성의 정신적인 우월성을 부각시키는 서사적인 장치로 작동하는 것이다. 이로 보자면, 물질 지향적인 ‘불량’한 신여성 ‘아내’의 불행이라는 서사 구조는 물질이 결핍된 지식인 남성의 위축된 남성성을 회복하는 서사이기도 하다.

영문 초록

This paper brings attention to the negative depiction of modern ‘wife’ from a Chinese novel written in 1930s. In order to do so the paper Lao She’s work as its main subject. Lao She points out the faults of ‘wife’ from two main perspectives. One is the unwillingness or inability to carry out women’s roles. The other is the incongruency existing between understanding and action. This incongruency displayed by modern ‘wife’ manifests itself in two aspects. Firstly, despite seeking her existential value as a modern girl she lacks independence. Secondly, although she recognizes the irrationality of male dominant order she desires superior social status and material benefits offered within such dominant order. From Lao She’s views, such modern ‘wife’ is the scene where women displays otherized internal solidity and independently materialized existence. On the other hand, negative depiction of modern ‘wife’ contains following two meanings. One is the skepticism on modern times. Girls’ school and women education were important keywords representing modern times. Lao She points out that girls’ schools are place where ‘bad’ modern ‘wife’ is created and expresses skeptical views on girls’ school and women education. The other is the space where discouraged masculinity of intellectual men is compensated. Lao She places modern girl between intellectual men lacking in material and bourgeois men with material superiority. As modern girl chooses bourgeois men as her husband the hierarchy of masculinity is categorized into material/immaterial, superior/inferior. Such hierarchical relationship is overturned through the immorality of bourgeois man and misery of modern ‘wife’. Thus, the narrative structure involving the misery of material-seeking bad modern ‘wife’ complements the discouraged masculinity of intellectual men lacking in material.

목차

1. 들어가면서
2. 전통적인 여성성의 소환
3. 신여성 ‘아내’의 불량성
4. 신여성 ‘아내’에 대한 부정적 서술의 이면
5. 나오면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崔銀晶(Choi, Eun-Jeong). (2021).1930년대 중국소설에 나타난 신여성 ‘아내’의 일면. 중국소설논총, 65 (1), 153-174

MLA

崔銀晶(Choi, Eun-Jeong). "1930년대 중국소설에 나타난 신여성 ‘아내’의 일면." 중국소설논총, 65.1(2021): 153-1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