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 소재지에 따른 청소년의 사교육 시간 활용 격차

이용수 468

영문명
Regional gaps in private tutoring time: Explor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attitude toward public education
발행기관
지역사회학회
저자명
이진철(Lee, Jin-Cheol)
간행물 정보
『지역사회학』지역사회학 제23권 제1호, 153~185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4.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기존 연구는 지역에 따른 사교육과 공교육 각각의 격차를 밝혀왔으나 본 연구는 두 교육 체계의 불가분성을 고려하여 공교육에 대한 학생의 태도가 사교육 시간 활용의 지역 간 격차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때 학습 시간 활용의 측면에서 사교육 시간을 사교육 참여 시간과 학생의 능동적 시간 조절에 따른 숙제 시간으로 구분하여 그 격차를 분석하였다. 2010년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를 활용하였고, 학교 소재지는 서울, 수도권, 지방 광역시, 지방 시도 단위 넷으로 나누었다. 분석결과 서울에서 수도권, 지방으로 갈수록 사교육 참여 시간과 숙제 시간 모두 감소하여 사교육 환경 차이가 참여 시간의 차이뿐만 아니라 실제 숙제 시간의 차이로도 이어지는 상황임을 보여준다. 다음으로 학생의 공교육에 대한 태도를 학교 학습활동 충실도와 공교육을 통한 성취 열망으로 나누어 지역 격차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두 조절효과의 방향은 반대로 나타나, 학교 학습활동에 충실하고 공교육을 통한 성취열망은 낮은 학생들에게서 지역 간 사교육 참여 시간과 숙제 시간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즉 이러한 태도를 가진 서울 소재 학생은 학습을 돕는 보완적 역할로 사교육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반면, 비슷한 태도의 지방 소재 학생에게 사교육은 어쩔 수 없이 남는 공부시간을 투자하는 대상임을 암시한다. 이는 사교육-공교육 맥락에서 서울과 수도권 소재 학생들은 공교육에 대한 태도에 따라 사교육 활용을 원활하게 조절하는 반면 지방 소재 학생들은 그렇지 못한 상황임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조절효과 면에서 지방은 광역시와 시도 간 상황에 차이가 없었다.

영문 초록

Previous studies have revealed the regional gap of private tutoring and public education, but considering the inseparability of private tutoring and public education, this study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students’ attitudes toward public education on the regional gap in private tutoring. In particular, in terms of time use, private tutoring time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private tutoring participation time and homework time containing the meaning of active time control. This study used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0, and the school’s location was divided into Seoul, capital area, metropolitan city, and provincial area.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both time decreased from Seoul to the metropolitan and provinces. This shows that the situation that private tutoring is insufficient in provinces leads not only to the difference in participation time but also to the difference in actual self-learning time. Next, this study divided students’ attitude toward public education into school learning activities fidelity and desire to achieve through public education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to regional gap. Results showed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two moderating effects, with the biggest difference in both private tutoring time among students who are devoted to school learning activities and have low desire for achievement through public education. In other words, private tutoring plays a complementary role for students in Seoul, while inevitably invests extra study time for students in local areas. This shows that in the context of private education-public education, students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control the use of private education smoothly according to their attitudes toward public education, while students in local areas do not. Final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ituation between metropolitan and provincial cities in terms of these control effect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및 가설
Ⅲ. 분석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진철(Lee, Jin-Cheol). (2022).학교 소재지에 따른 청소년의 사교육 시간 활용 격차. 지역사회학, 23 (1), 153-185

MLA

이진철(Lee, Jin-Cheol). "학교 소재지에 따른 청소년의 사교육 시간 활용 격차." 지역사회학, 23.1(2022): 153-1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