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과소보호금지원칙의 통제밀도

이용수 119

영문명
The Control Density(統制密度) in the Excessive Prohibit Principle
발행기관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저자명
이상만(Lee, Sang-Man) 전정환(Jeon, Jeong-Hwan)
간행물 정보
『법학논총』제29권 제1호, 191~224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4.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헌법 제10조에서는 국가의 기본권 보호의무를 규정하고 있다. 오늘날 기본권의 침해가 제3자에 의해 빈번하게 발생됨에 따라 현대 사회에서 국가의 기본권 보호의무의 주요 쟁점은 사인 사이의 기본권 침해 방지의무 측면에서 다루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 결과 헌법상에 국가의 기본권보호의무가 발생되는 경우, 국가가 부담하는 보호의무를 헌법상의 기준에 부합하도록 이행하였는지 여부를 심사하는 기준에 대하여 우리 헌법재판소는 과소보호금지의 원칙을 채택하고 있다. 헌법재판소는 이 ‘과소보호금지의 원칙’을 통해 “국가가 국민의 기본권 보호를 위해 적어도 적절하고 효율적인 최소한의 보호조치를 취했는지를 기준으로 심사하고 있다. 이는 국가가 국민의 기본권 보호를 위해 전혀 아무런 보호조치를 취하지 않았든지 아니면 취한 조치가 기본권을 보호하기에 현저히 부적합하거나 불충분한 경우에 한하여 국가의 보호의무를 위반하였다”고 판단한다. 그런데 이러한 헌법재판소의 견해는 다소 문제가 있어 보인다. 과소보호금지원칙의 통제밀도를 효율성 통제로 제시하는 듯 했으나, 명백성 통제로 귀결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헌법재판소가 기본권의 법익 및 성질, 침해의 심각성 등의 다양성 등을 감안하지 않은 채 입법자의 형성의 자유라는 미명하에 통제밀도를 다양화하지 않고 계속하여 명백성 통제로 국한한다면 기본권 보호의무 이행과 관련한 위헌심사기준으로 적용하고 있는 과소보호금지 원칙에 의미를 부여하는데 한계가 도출될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독일의 판례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우리 헌법재판소가 입법자의 기본권보호의무의 이행에 대한 위헌여부를 심사할 때 주로 명백성통제에 치우친 것과는 대조적으로 독일연방헌법재판소는 명백성통제로부터 주장가능성통제 및 강화된 내용통제에까지 이르기까지 위헌심사기준을 다양화하여 적용한 것을 볼 수 있다. 침해되는 기본권적 법익이 생명권이나 신체의 자유, 의식주 등 인간의 기본적 욕구, 직업의 자유 등 개인의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자유와 관련되는 영역에서는 엄격한 내용통제를, 반면에 입법자에게 정치적 재량이 인정되는 영역이거나 또는 개인이 일반적으로 타인과의 연관관계에 놓여지는 경제적 활동을 규제하는 경제정책적 영역에서는 명백성통제를 적용하는 등의 통제밀도의 다양화가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헌법재판소는 헌법과 기본권의 최후수호기관이며, 헌법해석을 통하여 그것을 실현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헌법재판소가 기본권 보호에 있어 헌법재판에서의 적극주의에 대해 강조하였다.

영문 초록

Article 10 of the constitutional law is stipulating the state s obligation to protect basic rights. Today, the infringement of basic rights is frequently caused by the third parties. Thus,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main issue of the nation’s obligation to protect basic rights in modern society is dealt with in terms of the obligation to prevent the infringement of basic rights between individuals. As a result, our Constitutional Court is adopting the the Excessive Prohibit Principle pertinent to the criteria for examining whether the duty of protection borne by the state has been fulfilled to meet the constitutional standards in the case where the Constitution has a state s obligation to protect basic rights. Through this ‘Excessive Prohibit Principle,’ the Constitutional Court is “examining on the basis of whether the nation has taken at least the appropriate and efficient minimum protective measures to protect the basic rights of the people. This leads to judging that the nation violated the state s duty of protection only in case of what the state has taken no protective measures to protect the basic rights of the people or of what the measures taken are significantly inappropriate or insufficient to protect basic rights.” By the way, this view of the Constitutional Court seems to be somewhat problematic. That is because the control density in the Excessive Prohibit Principle seemed to be proposed as the efficiency control, but is resulting in the clarity control. If the Constitutional Court continues to be limited to the clarity control without diversifying the control density under a good name dubbed the legislator s freedom of formation without taking into account the legal interests and nature of basic rights, the seriousness of infringement, etc., there will be a limitation in giving a meaning of the Excessive Prohibit Principle that is being applied as the criteria to judge unconstitutionality relevant to the fulfillment of the obligation to protect basic rights. To solve this problem, Germany’s judicial precedents were surveyed. As a result, it can be confirmed that our Constitutional Court is mainly biased to the clarity control when examining whether the legislator s obligation to protect basic rights is unconstitutional, whereas the German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diversified and applied the unconstitutional review criteria even up to the convincing control and the strengthened content control from the clarify control. The diversification of control density can be considered to be needed with applying the strict content control in the area that the basic legal interests of being violated are related to the basic needs of humans such as the right to life, the freedom of the body, and the food, clothing & shelter and so on, and to individual s most basic and core freedom such as occupational freedom, and with adopting the clarity control on the contrary in the area where a legislator is recognized the political discretion or in the economic policy area that generally regulates the economic activities in which an individual is placed in relation to others. Also, the Constitutional Court emphasized activism in the constitutional trial in protecting basic rights with regard to what the Constitutional Court is the last protective body of the constitutional law and the basic rights and must realize it through the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과소보호금지원칙의 특성과 기능
Ⅲ. 과소보호금지원칙의 통제밀도
Ⅳ. 헌법재판소의 명백성통제 결정례 고찰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상만(Lee, Sang-Man),전정환(Jeon, Jeong-Hwan). (2022).과소보호금지원칙의 통제밀도. 법학논총, 29 (1), 191-224

MLA

이상만(Lee, Sang-Man),전정환(Jeon, Jeong-Hwan). "과소보호금지원칙의 통제밀도." 법학논총, 29.1(2022): 191-2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