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백제(百濟) 정림사식가람배치(定林寺式伽藍配置)의 전개(展開)와 일본(日本)의 초기사원(初期寺院)

이용수 143

영문명
Development of Site Layout of Jeonglim Temple Site in Baekje Era and Early Temples in Japan
발행기관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저자명
이병호(Byong Ho Lee)
간행물 정보
『백제연구』백제연구 제54집, 113~143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8.25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백제사원의 가람배치에 관한 최근의 발굴성과를 ``定林寺式伽藍配置``라는 개념으로 정리하고 이를 일본의 초기사원과 비교하였다. 정림사식가람배치는 일본의 四天王寺式伽藍配置과 비슷하지만 講堂과 回廊의 연결이 북회랑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동·서회랑 북단의 附屬建物, 강당지 동서쪽의 別途建物로 연결되는 방식을 취하는 특징이 있다. 동·서회랑 북단의 부속건물이라는 것은 僧房과 같은 것으로 생각되지만 좀더 公的인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東堂과 西堂``으로 부르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양식의 가람배치는 소조상을 비롯한 공반유물과 문헌기록을 통해 볼 때 사비 천도(538년) 이후 중국 南朝의 영향을 받아 성립되었지만, 부분적으로 고구려의 영향도 함께 받은 것으로 보인다. 그 후 군수리사지나 왕흥사지가 건립되는 6세기 중후반부터는 동·서 회랑 외곽에 건물이 증축되는가 하면, 6세기 말 이후에는 일부 전각이 건립되지 않는 등의 변화가 나타난다. 7세기 전반에 건립된 미륵사지는 三院竝列式伽藍配置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정림사식가람배치를 토대로 하여 중국의 大型院落式 사원의 영향을 받아 건립된 것으로 생각된다. 일본 초기사원의 경우 大阪 四天王寺에서도 정림사식과 유사한 점이 부분적이나마 확인된다. 또 新堂廢寺의 경우 부여 능산리에서처럼 고분과 사원이 결합되어 있고, 동서 회랑지 부근에서 부속건물이 건립되는 등 백제사원의 직접적인 영향이 확인된다. 백제에서는 사비 천도 이후부터 멸망기까지 기본적으로 정림사식가람배치가 건립되었기 때문에 이를 百濟式伽藍配置라고 불러도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ummarizes recent results of excavation in Baekje temple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Site layout of Jeonglim temple``. ``Site layout of Jeonglim temple`` may look similar with site layout of Sacheonwang temple site in Japan, however, it is different and featured that auditorium and corridor are not connected to corridors in north but to additional buildings in the northern part of east and west corridors and separate building of east and west side of auditorium site. In specific, even though the additional buildings in east and west corridors may be regarded as the same as rooms for monk, it would be better to call them as ``East House`` and ``West House`` rather than ``rooms for monk`` because they have more public purpose. Given relics such as molding statues and literature records, this type of site layout seems to be influenced by Southern Dynasties in China after Baekje`s transferring capital to Sabi in 538, but also it seems to be influenced by Koguryeo in part. There have been changes in site layout from the mid and late 6th and the early 7th century. Additional buildings began to be expanded outside of east and west corridors from the mid and late 6th century when Gunsuri temple site and Wangheung temple site were founded. Also, part of palace`s buildings were not built after the end of 6th century. Mireuk temple site, founded in the early 7th century, shows a parallel system of three buildings which were thought to be built based on Jeonglim temple site layout. In addition to this, Mireuk temple site is regarded to be influenced by large size building style in China. In the case of early temples in Japan, similar feature as Baekje are confirmed in Sacheonwang temple in Osaka even though it is founded partially. In addition, a direct influence by Baekje temples are confirmed: Tombs and temples were congregated at Neungsan-ri in Buyeo when new buildings were closed and additional buildings were built around the east and west corridors. It would be plausible to call Jeonglim temple site layout as Baekje style site layout as, basically, Jeonglim temple site layout were dominant from the time of Baekje`s transferring capital to Sab iand till its fall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병호(Byong Ho Lee). (2011).백제(百濟) 정림사식가람배치(定林寺式伽藍配置)의 전개(展開)와 일본(日本)의 초기사원(初期寺院). 백제연구, 54 (1), 113-143

MLA

이병호(Byong Ho Lee). "백제(百濟) 정림사식가람배치(定林寺式伽藍配置)의 전개(展開)와 일본(日本)의 초기사원(初期寺院)." 백제연구, 54.1(2011): 113-1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