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라(新羅)의 궁원지(宮苑池)

이용수 97

영문명
The Palace Garden Ponds of Silla: Mainly on the characteristics of Guhwangdong garden pond
발행기관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저자명
오승연(Seung Yeon Oh)
간행물 정보
『백제연구』백제연구 제53집, 51~87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2.25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궁원지는 유휴, 제의 등의 기능을 목적으로 조성된 궁에 속한 원지이다. 지금까지 신라 궁원지의 연구는 규모와 의장, 출토 유물 면에서 가히 압도적이라 할 수 있는 월지에 관한 것이 대다수를 차지하며 주로 조경학적 측면에서 다루어져 왔을 뿐 고고학적 연구 성과는 미약한 단계에 머물러 있다. 필자는 이러한 현상의 원인이 궁원지의 형태ㆍ구조ㆍ기능적 측면을 고려한 보다 정확한 분류안의 부재에서 기인한 것으로 판단하고, 현재까지 발굴을 통해 확인된 신라 원지 유적 중 “궁원지로서 대상의 설정과 정확한 구조의 파악”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신라의 삼국 통일과 함께 축조된 월성해자 석축부는 지금까지 ‘석축해자’로 명명되고 있으나 구조와 입지의 특성상 원지임이 분명하므로 ‘월성 외곽 석축 원지’라는 새로운 명칭을 제안하였다. 국립경주박물관 부지 내 원지는 지금까지 남쪽의 조산과 세트를 이루는 남궁의 곡지계 궁원지로만 추정되었으나, 그 위치가 월성 외곽 석축 원지의 연장선상에 있고, 구조적으로도 유사한 것으로 파악되므로 ‘월성 외곽 석축 원지’의 일부인 것으로 재해석 하였다. 구황동원지는 최근까지 분황사의 사원지로 보는 견해가 있으나 전체적인 공간 배치, 경관 구성요소의 선택, 관련된 궁의 입지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때 궁원지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는 점을 분명히 하였다. 다시 말해 구황동원지는 공간 배치에서 기존의 주장과 달리 의도적으로 원장을 둘러 분황사와 분리된 독립 공간을 형성하고 있고, 사원지에서는 전혀 채택되지 않는 섬ㆍ석가산ㆍ정원석 등의 구성요소를 갖추고 있으며, 평면 형태에서도 사원지에서 나타나지 않는 곡지계 원지가 적용되었다는 점에서 사원지로서의 가능성은 매우 낮으며, 오히려 경관 구성요소와 평면 형태가 대표적 궁원지인 월지, 용강동원지의 그것과 거의 동일한 것으로 보아 궁원지로 파악하는 것이 옳은 것이다. 그리고 구황동원지의 築臺 남쪽은 2차 원지 축조시기의 통방 구조이므로, 지금까지 확인되지 않은 이궁의 존재가능성이 높다. 만약 필자의 이러한 추론이 타당한 것이라면, 구황동원지는 분황사와 황룡사 사이에 존재한 이궁의 북쪽에 위치한 후원지가 된다. 그 이궁은 아마도 『삼국유사』에 기록으로만 전해지는 용궁일 가능성도 배재할 수 없을 것이다.

영문 초록

Palace garden ponds are the garden ponds which belong to Palaces and are built for the purposes of pleasure, rest, religious or ancestral rites and etc. Silla dynasty had made the system for city and castle since at least the mid sixth century influenced by the system for city and castle of Chinese Sui dynasty and Tang dynasty. Therefore we can assume that palace garden ponds were built around that time but Guhwangdong garden pond of the early 7th century is the earliest one excavated for the present. Until now the research of Silla palace garden ponds is mostly about the landscape architecture of Moon Pond which is preponderant in the aspect of scale, ornament technique of garden and excavated articles. On the other hand, archaeological research is insignificant and the research on the analysis, classification, systematic relation and development with time of garden pond is in the beginning level. I thought that the cause of this situation is resulted from the absence of more accurate classification including shapes, structures and functional aspects of palace garden pond and presented the classification of palace garden ponds in 2003 and claimed the existence of the kind of rectangular shaped ponds and the kind of curved shaped ponds. In this paper I tried “the classification of garden ponds as palace garden ponds and the understanding of accurate structure” on Silla garden pond remains which are verified by the excavation until now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year of 2003. Among them, the stone-built part of Wolsung moat which was built at the time of Silla`s unification of three dynasties has been called ``the moat built with stones`` by now but this is definitely a garden pon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tructure and location and I suggest the new name of ``the Garden pond made with stones outside Wolsung`` for it. In addition,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of the various reports I claimed No.2 moat and No.3 moat in District Na which are known as the moats made with stones don`t have enoughcharacteristics for classification yet and mentioned the possibility that the eastern water path of a stone-built moat in District Da is not a water path but a northern stone-built wall of another stone-built garden pond. Therefore, already known stone-built moats outside Wolsung are rectangular-shaped palace garden ponds an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location I revealed that they are a large scale palace garden ponds to which Silla`s unique way of using space was applied by locating many interconnected garden ponds. Secondly, a garden pond inside space attached to the National KyoungJu(?) Museum has been presumed a curved shaped palace garden pond in Southern Palace which is connected to a southern artificial mountain but since the location is connected with the extension of the stone-built garden pond outside Wolsung and the structure of it is similar with that of the stone-built garden pond outside Wolsung, I reinterpreted it the part of the stone-built garden pond outside Wolsung. Thirdly, some people consider Guhwangdong garden pond as a temple garden pond but I mentioned that it is appropriate to consider it as a palace garden pond based on overall consideration of overall space allocation, the choice of landscape formation elements, the location possibility of related palace and etc.More concretely speaking, the space allocation of Guhwangdong garden pond is the independent space isolated from Bunhwangsa by having intentional garden walls. It is different from existing claims. And since it has an island, a stone-piled mountain, garden stones and etc which had not been used in temple garden ponds and its ground plan has curved shaped ponds which have not appeared in temple garden ponds, we can exclude the possibility that it is a temple garden pond. Contrary,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승연(Seung Yeon Oh). (2011).신라(新羅)의 궁원지(宮苑池). 백제연구, 53 (1), 51-87

MLA

오승연(Seung Yeon Oh). "신라(新羅)의 궁원지(宮苑池)." 백제연구, 53.1(2011): 51-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