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비시대 百濟土器와 社會相

이용수 136

영문명
Baekje pottery in the Sabi(사비) Period & Social Aspects
발행기관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저자명
金鍾萬
간행물 정보
『백제연구』백제연구 제37집, 37~55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3.02.25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사비시대 사회상을 추적할 수 있는 고고학 자료는 생활유적과 고분유적 그리고 각유적에서 발견되고 있는 각종 유물들이다. 백제토기는 고분유적 뿐만이 아니라 일상생활유적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어서 당시의 사비시대 사회상을 복원하는데 여타의 고고학 자료보다도 기초자료로서 더욱 활용될 수 있다. 사비시대 백제토기를 생산하였던 요업은 재래의 등요에 평요가 이입되면서 와도겸용으로 변화하며 실용화·견고화·고급화를 통해 회청색경질토기류, 흑색와기류, 회색토기류 등이 만들어져 사용되었다. 사비시대 백제토기가 다양한 것은 백제 중앙정부의 대폭적인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생산유통의 새로운 변화를 말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생산에 따른 공급체계는 백제의 정치·사회상을 반영해주는 것으로 생산유통은 전문적으로 이루어져, 왕실을 포함한 도성내부용, 중앙에서 사용하면서 지방으로 재보급한 토기, 사찰용, 고분부장용 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사비시대 토기류는 전문화된 공인집단이 율령제와 같은 국가의 일정한 체제에 따라 규격화된 토기류를 만들어 공급하였으며 중앙정부는 다시 지방에 보급이라는 차원에서 분배하는 과정을 거친 것으로 보인다. 백제의 지방통치에 있어 토기가 차지하는 일정한 역할이 있었으며 중앙에서 지방으로 내려갈수록 직접보급에서 간접적인 기술보급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추측된다.

영문 초록

Social aspects of the Sabi Period can be traced by means Archeological evidence that include relics from everyday life and the old tomb remains and various relics found in the ruins of Baekje Period. Baekje pottery, in particular, is found extensively not only in the old tomb remains but also in the relics from everyday life, and for this reason it can be more extensively utilized than other archeological evidence as a basis for reconstructing the then prevailing social aspects of Sabi Period. The ceramic industry of the Sabi Period began producing black or gray-bluish stone pottery, black wajil pottery and gray pottery after it employed the flat kiln instead of the then prevailing sloping kiln which enabled the ceramic industry to produce potteries for dual purposes such as a tile and pottery, which had durability, good quality and practical uses. Drastic support by the central government great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kinds of Baekje pottery during the Sabi Period which led to a change in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the pottery. the supply system of the produced pottery gave a glimpse of the Baekje s political and social aspects. Distribution of the pottery was in a highly technical manner that it was distributed based on the prearranged uses of the pottery such as uses for the capital city including a royal family, for the central areas designed for redistribution to the provinces, for temples and for the burial accessories. Standardized pottery was produced during the Sabi Period by those professional groups of technicians based on ‘yulyongje’(律令制), a code of the governing laws at that time. The central government distributed it to the provinces. The central government administered the provinces using pottery that played a certain role in the process, and indirect distribution such as the transfer of technical know-how to the provinces was deemed preferred in an increasing manner, if the distance from the central government was greater.

목차

Ⅰ. 머리말
Ⅱ. 백제토기와 생산유통
Ⅲ. 백제토기와 지방통치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金鍾萬. (2003).사비시대 百濟土器와 社會相. 백제연구, 37 (1), 37-55

MLA

金鍾萬. "사비시대 百濟土器와 社會相." 백제연구, 37.1(2003): 37-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