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병천 3ㆍ1독립운동과 유관순

이용수 3

영문명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in Byungcheon and Gwan-soon Ryu
발행기관
백석대학교 유관순연구소
저자명
김진호(Jin-Ho Kim)
간행물 정보
『유관순연구』유관순 연구 제26권 제1호, 1~40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천안지역의 3ㆍ1독립운동은 3월 14일 목천 보통학교 학생들의 독립만세 운동으로 시작됐다. 이어 입장, 천안 읍내, 풍세 등으로 확산되고 3월 하순 활발히 횃불독립만세운동이 전개되면서 병천에서도 독립만세가 외칠 수 있는 지역적 분위기가 형성됐다. 이에 서울에서 귀가한 유관순이 참가한 서울의 독립만세 소식을 전하며 동면의 기독교 계통에서 조인원, 유중권, 유중무 등이 독립만세를 준비했다. 반면 수신면에서는 홍일선을 중심으로 유학적 소양을 가진 인사들이 동지를 규합했고, 병천면에서는 김구응을 중심으로 신진 청년들이 활동했다. 이들 동면계, 수신계, 병천계의 추진 세력들이 독자적 세력을 규합하며 독립 운동을 추진했다. 4월 1일 조인원을 중심으로 조선독립만세를 선창하자, 병천 장터에 집결하여 있던 김교선, 김구응 등의 세력이 동참하여 독립만세를 연호했다. 이어 병천 헌병주재소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김구응, 김상헌이 순국하고 조인원, 유중권 등이 부상을 당하는 제1차 무력 진압이 있었다. 사상자를 수습한 인사들이 주재소로 이동하여 다시 독립만세를 외쳤다. 김교선 등의 인사들도 동참하여 헌병들에게 항거했다. 시장에서는 군중들이 계속 독립만세를 외쳐 만세 군중은 3000명에 이르렀다. 군중들은 무력 진압에 격분해 헌병들에게 항거하고 주재소를 파괴하며 총기 탈취를 시도하며 주재소장을 죽이라고 외치는 등 격렬해졌다. 유관순은 헌병들에게 ‘군기로 민족을 죽이냐!’며 항의하고 주재소 소장을 붙잡고 저항하며 손으로 총기를 붙잡아 발포를 저지했다. 그러자 소장 이하 헌병들이 제2차 무력 진압을 자행하여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오후 4시경 천안 헌병분대와 철도엄호대의 헌병, 보병들이 병천에 도착했다. 이들이 주재소와 시장터 일대에 산재한 군중들에게 제3차 무력 진압을 감행하여 사상자가 발생했다. 그러나 만세 군중들은 독립만세를 외칠 기회를 살피며 해질 무렵까지 병천 읍내 주위를 떠나지 않았다. 이 독립운동으로 18명이 순국하고 40여 명이 부상을 당하고 일부 주도 인사들이 체포됐다. 천안 헌병분대에서 보안법 위반에 즉결처분으로 태60~90을 당한 인사가 15명이 현재까지 확인된다. 공주지방법원 검사국에서 3명이 불기소 처분을 받고 공주지방법원에서 22명이 소요와 보안법 위반으로 벌금 40원, 징역 6월에서 징역 5년까지 선고받았다. 이어 16명이 경성복심법원에서 징역 6월에서 징역 3년을 선고받고 14명이 고등법원에 상고했으나 모두 상고 기각을 선고 받았다. 전체 22명 가운데 86.36%인 19명이 1년 이상의 중형을 선고받고 옥고를 겪었다. 유관순은 공주지방법원에서 징역 5년을 선고받고 경성복심법원에서 징역 3년을 선고받았다. ‘삼천리 강산이 어디면 감옥이 아니겠느냐’며 재판을 거부하며 상고하지 않아 징역 3년이 확정되어 옥고를 겪었다. 공주 감옥에서 공소 제기로 서대문감옥로 이감되어서도 일제 항거를 이어갔다. 1920년 3ㆍ1 독립운동 1주기 기념으로 독립만세를 외쳐 자신의 독립 의지를 표출했다. 일제 간수들의 악형과 옥고(獄苦)로 만기 출옥 96일을 남겨놓고 1920년 9월 28일 순국했다. 병천의 3ㆍ1독립운동은 서울 유학생이 귀가해 주창한 독립운동이었고, 기독교와 유림 및 신진 청년세력들이 독자적 세력을 형성하여 추진했으며, 연합 독립만세운동이었지만 독자적으로 활동을 전개했으며, 전개 과정에서 군중들의 참여가 계속 증가한 독립운동이었다. 또한 천안지역의 3ㆍ1독립운동에 대미를 장식한 독립운동으로 유례가 없는 일제의 무력적 탄압과 사법적 탄압을 받았으며 그리고 일제의 탄압으로 일가의 몰락을 초래한 대표적인 독립운동이었다.

영문 초록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in Chonan Area started in the hurray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by the Mok Cheon primary school student on March 14, 1919. Continually, the Independence Movement was spread in the Ipjang-myeon, Cheonan-myeon Township, Pungse-myeon and elsewhere. The Torch Independence Movement (횃불獨立萬歲運動) was developed actively on the Late March. Thus the atmosphere of the hurray for the independence had formed in Byungcheon. Gwan-sun Ryu participated actively in the hurray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Seoul, went home in Yongdu-ri of the Dong-myeon and informed to father, uncle, a Christian teacher ot the local personnel and others about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Seoul. Hereafter, the hurray for the independence was prepared by Jung-Mu Ryu , Jung-Kwon Ryu, In-Won Cho etc. in the Dong-myeon, by Il-Sun Hong, Kyo-Seon Kim etc. in the Susin-myeon, and by Gu-Eung Kim etc. in Byeongcheon-ri of the Galjeon-myeon. They acted independently to unite the their supporter. And they with their supporter meeted in marketplace of the Byeongcheon-ri on April 1st. The group of In-Won Cho etc. cried out the hurray for the independence and continually Kyo-Seon Kim etc. kept calling out. They marched towards the substation of military police in Byeongcheon. Then the military police fired the gun and wielded the sword for military to the shouting crowd. The first military suppression caused the patriotic martyrs of Gu-Eung Kim and Sang-Heon Kim. Also the others were injured. The crowd dispersed in all directions and escaped for the safety of life. After a while, they reassembled to retrieve the bodies of the casualties. And they moved to the substation of military police. They protested against the military repression. The hurrah crowd grew to 3,000 people. Continually, they attacked and destroyed the substation of the military police. And they tried to seize the weapon and kill the commander of military police. Gwan-sun Ryu protested to the military police that “Why are you killing our people with weapons?” She grabbed and shook the commander. And She even grabbed the military police s gun to prevent them from firing. As a result, the military police carried out the second military suppression. This resulted in numerous casualties and the crowd dispersed again. At around 4 pm, the military police of the Cheonan Military Police Squadron and the infantrymen of the railway cover arrived at Byeongcheon. They attacked the crowds scattered around the substation of the military police and market place. This was the third military suppression. There were also casualties. Nevertheless, the hurrah crowd did not leave there until sunset. Because they wanted to cry the hurray for the independence over and over again. Because of the military suppression of Japanese imperialism, 18 people were killed and about 40 people were injured. 15 people were subjected to 60-90 flogging (笞刑) as a result of summary punishment in the Cheonan Military Police Squadron. 3 people were not prosecuted by the prosecutor s office of the Gongju District Court. 22 people were tried for the crime of sedition and security law violation. Aamong these 19 people were sentenced to more than one year in prison. That is, 86.36% were sentenced to severe punishment. Such cases are unprecedented in the number of casualties and severe sentences. Gwan-sun Ryu was sentenced to five years in prison at the Gongju District Court and three years in the Gyeongseong Reexamination Court. She insisted that “Is there any place in Samchully Gangsan that is not a prison?” and refused to go to the High Court. She was decidedly sentenced to three years in prison and to life in Seodaemun Prison. While in prison, she continued the independence movement, such as March 1, 1920. As a result, she was beaten and tortured by the prison guards. Finally, she passed away on September 28, 1920, 96 days before her release from prison and became the Patriotic Martyrs.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천안지역의 3ㆍ1독립운동
Ⅲ. 병천 3ㆍ1독립운동과 유관순의활동
Ⅳ. 3ㆍ1독립운동에 대한 일제의 탄압
Ⅴ. 3ㆍ1독립운동의 성격
Ⅵ.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진호(Jin-Ho Kim). (2021).병천 3ㆍ1독립운동과 유관순. 유관순연구, 26 (1), 1-40

MLA

김진호(Jin-Ho Kim). "병천 3ㆍ1독립운동과 유관순." 유관순연구, 26.1(2021): 1-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