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서울대도시권 신도시 아이디어 전개에 관한 연구

이용수 69

영문명
A Study on the spreading of SMA’s New Town Idea based on Historical Institutionalism and E. Howard’s Garden City Movement
발행기관
한국지역개발학회
저자명
임재빈(Lim, Jae Bin)
간행물 정보
『한국지역개발학회지』제34권 제1호, 1~2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개발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3.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의 주택문제 대안으로 지속적으로 신도시 솔루션을 채택되는 이유가 무엇인지 이해하기 위해, 신도시 솔루션의 아이디어 흐름을 추적한다. 이는 신제도주의, 역사적제도주의가 말하는 ‘아이디어’ 개념에 근간한다. 이 아이디어는 J.킹던이 제안한 정책공동체 안에서 공유되고 발전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이후 현재까지 정책 공동체 내에서 신도시 아아이디어, 즉 에베네저 하워드의 전원도시론을 유입과 확산, 발전 양상을 정리하였다. 첫째, 하워드의 전원도시운동은 대도시권 신도시 정책의 아이디어로 이해할 수 있다. 그 핵심은 지대중심점의 인위적 재창출과 사회도시 체계이다. 둘째, 한국의 수도권 신도시는 하워드의 아이디어를 지속적으로, 그리고 충실히 구현하면서도 한국적 상황의 경로를 따라 발달하였다. 일제강점기, 전후복구기, 군사정부기, 민주화이후에도 꾸준히 하워드의 아이디어가 인용, 검토되었으며, 동시대 또는 조금 앞서 일본, 프랑스 등이 자신들의 맥락에서 재조정한 아이디어로 수용하였다. 셋째, 한국의 수도권은 하워드의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지속 발전하고 형성되어왔기에 앞으로도 이 경로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고, 따라서 그 영향력은 지속될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수도권 및 타 대도시권의 주택문제의 해결에 있어서도 대도시권 신도시 솔루션은 장기간 중요한 대안으로 검토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책시사점으로 추진 중이 3기 신도시에 대해, 첫째, 우선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것은 자족성 개념의 재정립이다. 둘째, 사회도시 개념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implications and prospects of new town polic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MA) from the point of view of historical institutionalism and E. Howard’s garden city movement, in the midst of implementing the 3rd SMA new towns. To this end, we examine the fundamental idea of the garden city movement using the concept of idea . And we look at how new towns in metropolitan areas have been built from the couple of countries. And the path-dependent characteristics and prospects of new towns in the SMA are examined. In conclusion, first, the garden city movement can be understood as the paradigm idea of the new town policy in the metropolitan area. However, in the actual introducing process, there was an aspect of program ideas to solve policy problems. Second, SMA’s new town system is the result of long-term search for alternatives to cope with population growth and the convergence of the following systems. It has been established as a powerful program idea and a new paradigm idea. The process, by which a paradigm idea is introduced into the policy community and acquires a dominant position, is accompanied by transformation and inculturation. As a result, the paradigm idea that has become feasible can be very different from the first introduced idea.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3. 대도시권 신도시 아이디어의 근원과 확산
4. 국내로의 유입과 전개과정
5. 결론 및 정책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재빈(Lim, Jae Bin). (2022).서울대도시권 신도시 아이디어 전개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4 (1), 1-26

MLA

임재빈(Lim, Jae Bin). "서울대도시권 신도시 아이디어 전개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4.1(2022): 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