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수도권 그린벨트의 도시공간구조 변화 효과 분석

이용수 37

영문명
The Effects of Seoul Metropolitan Area’s Greenbelt on Urban Spatial Transformation
발행기관
한국지역개발학회
저자명
전명진(Jun, Myungjin) 윤미영(Yun, Miyoung)
간행물 정보
『한국지역개발학회지』제34권 제1호, 49~7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개발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3.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서울의 그린벨트가 도시공간구조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이론적, 실증적 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이론 모델로 단핵도시 일반균형모델은 그린벨트 유무와 같은 두 가지 다른 시나리오에서 수학적 식으로 구성한 후 시뮬레이션 하였다. 실증적 분석의 경우 실제 데이터로 다핵 밀도 함수를 구축하여 인구 및 고용 밀도 경사함수를 추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그린벨트의 영향을 통계적으로 테스트한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의 그린벨트는 1)비그린벨트지역의 땅값과 집값 상승, 개발밀도상승 2)도시경계를 약 3km 연장 시키는데 기여하여 그린벨트 외부에 거주하는 근로자들의 출퇴근 거리가 길어지게 되었다. 두 번째, 실증모델의 결과는 그린벨트 규제로 그린벨트지역의 인구와 고용밀도가 비그린벨트 지역보다 각각 100%와 133% 낮아 그린벨트가 성공적인 개발 저지에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했다. 비그린벨트 시나리오에 따르면 그린벨트 지역 내에는 약 120만명의 인구, 60만명의 일자리가 입주해 수도권 전체인구의 4.9%, 전체 일자리의 5.3%에 해당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Seoul s greenbelt on the urban spatial structure transformation using theoretical and empirical analysis methods. As a theoretical model, a monocentric general equilibrium model was mathematically constructed and simulated on two different scenarios: with and without greenbelt. In the case of empirical analysis, we statistically test the effects of the greenbelt on the population and employment density gradients by building a polycentric density gradient function with an actual data.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eoul’s greenbelt contributed to 1) increasing land and housing prices and development density in non-greenbelt areas, and 2) the extension of the city boundary by about 3km, resulting in a longer commuting distance for the workers residing outside greenbelt. Second, the empirical model results showed that the population and employment densities of greenbelt regions were lower by 100% and 133%, respectively, than those of non-greenbelt regions due to green belt regulations, confirming that the greenbelt contributed to successfully deterring development. If the green belt is lifted and 40% of the green belt is converted to urban use, about 1.6 million people and 0.82 million jobs would be located within the green belt area, which are equivalent to 6.5% of the total population and 7.3% of all job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검토
3. 연구 분석 모형
4. 이론적 및 실증 분석 모형의 분석결과
5.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명진(Jun, Myungjin),윤미영(Yun, Miyoung). (2022).수도권 그린벨트의 도시공간구조 변화 효과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4 (1), 49-70

MLA

전명진(Jun, Myungjin),윤미영(Yun, Miyoung). "수도권 그린벨트의 도시공간구조 변화 효과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4.1(2022): 49-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