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근대 아동문학과 『아이생활』
이용수 106
- 영문명
- Korean Modern Children’s Literature and Aisaenghwal(Child’s Life)
- 발행기관
- 근대서지학회
- 저자명
- 류덕제(Ryu Duck-jee)
- 간행물 정보
- 『근대서지』제24호, 563~624쪽, 전체 62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문헌정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21
10,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아이생활』은 일제강점기를 관통하다시피 오랜 기간 발행된 아동문학 잡지이다. 1926년 3월에 창간호를 내어 1944년 1월호를 마지막으로 17년 11개월간 지속적으로 발간하였다. 처음 제호가 『아희생활』이었으나 1930년 11월호부터 『아이생활』로 바꾸었다. 1925년 10월말경 정인과, 한석원, 장홍범 등 조선인 목사들이 창간 발기회를 열어 발행을 주도하였다. 허대전, 곽안련 등 선교사들도 도왔다. 창간 비용은 사우들로부터 주금을 모금해 해결하였다. 그러나 재정적인 문제가 어렵자 1927년 10월경 ‘조선주일학교연합회’에 『아이생활』의 발행을 인계하기로 하였다. 1929년 10월경에는 ‘조선야소교서회’의 도움까지 받기로 하였다. 그러나 1936년 10월경에 ‘조선주일학교연합회’와 ‘조선야소교서회’가 후원을 중단하자, 다시 창립이사들로부터 주금을 모금하고, 장로회종교교육부로부터 출채하여 난국을 타개해 나갔다. 1941년경부터는 ‘아이생활후원회’가 결성되어 재정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였다.
『아이생활』은 고장환, 전영택, 송관범, 이은상, 윤석중, 박용철, 이헌구, 윤복진, 김영일 등이 고선자로 새로운 작가 발굴에 기여하였다. 김태영과 김태오의 동요작법과 주요한과 남석종 등의 비평은 독자들의 창작 능력을 키워주었다.
『아이생활』의 필자들로는 목사와 신자 등 기독교계 인사들이었다. 『아이생활』이 문서 선교라는 종교적 목적으로 간행했기 때문에 당연한 결과였다. 문인들 중에는 ‘해외문학파’와 ‘극예술연구회’ 쪽 인사들의 참여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이념적 방향성과 더불어 당시 ‘극예술연구회’ 활동을 하였던 최봉칙이 가교 역할을 한 것으로 짐작된다.
독자투고란에는 ‘북선北鮮’ 지방 소년문사들의 투고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당시 ‘북선’ 지역에 선교기지가 많았고, 교육선교의 일환으로 설립한 학교 졸업생이 다수 참여했기 때문이다.
『아이생활』은 시종일관 정인과 목사가 주관하였다. 그의 기독교민족주의는 『아이생활』 지면에 그대로 반영되었다. 민족주의적인 내용이 많았는데도 검열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웠던 것은 국제적인 연대망을 가진 기독교와 선교사들이 뒷배가 되었다. 그러나 민족모순과 계급모순이 중첩된 식민지 현실을 의도적으로 외면한 것은 『아이생활』의 한계라 하겠다.
1937년 ‘수양동우회’ 사건으로 검거된 정인과는 재판 도중 변절하여 친일을 길을 걷게 되었다. 지면에는 점차 군국주의 파시즘의 모습이 노골적으로 드러나게 되었고, 일본어가 확대되었다. 동시대에 발간된 『소년』이나 다른 일반문학 잡지도 이와 다를 바 없어 『아이생활』만이 유독 혹은 더 친일의 길을 걸었다고 할 수는 없다. 하나 민족문학의 관점에서 보자면, 1938년 ‘본지 폐간사’를 남기고 발행을 중단한 『가톨릭소년』과 같이 과감하게 붓을 꺾었더라면 치욕은 면했을 거라는 아쉬움이 남는다. 가시적인 교회의 보존 방편으로 친일의 길을 걸었다는 견해도 있으나, 태평양전쟁 이후 『아이생활』 지면엔 그들이 원했던 하나님마저 사라지고 군국주의 찬가와 국책 홍보 구호가 지면을 뒤덮었다.
영문 초록
Aisaenghwal(Child’s Life) is a long-term children’s literature magazine published through the Japanese colonial era. It was first published in March 1926 and continued for 17 years and 11 months until the January 1944 issue. The title was initially “Ahuisaenghwal(아희생활)” but changed to “Aisaenghwal(아이생활)”, reflecting the change in contemporary language, from the November 1930 issue.
Around the end of Oct. 1925, the launching of the magazine was led by Korean pastors such as Jeong In-gwa, Han Seok-won, and Jang Hong-beom who held a meeting of promoters. Missionaries such as James Gordon Holdcroft( 허대전) and Charles Allen Clark(곽안련) also helped. The founding cost was raised by collecting shares from the colleagues. When financial problems became difficult, the issuance of Aisaenghwal(Child’s Life) was handed over to the ‘Korea Sunday School Association(조선주일학교연합회)’ around Oct. 1927. ‘The Christian Literature Society of Korea(조선야소교서회)’ also helped Aisaenghwal(Child’s Life) around Oct. 1927. However, KSSA and CLSK stopped sponsoring around Oct. 1936, and the founding directors raised shares again and borrowed money from the ’Religious Education of Presbyterian Church of Korea(조선장로회총회종교교육부)’ to overcome the crisis. From around 1941, the ‘Child Life Sponsorship Association(아이생활후원회)’ was formed to resolve financial problems.
In Aisaenghwal(Child’s Life), Go Jang-hwan, Jeon Young-taek, Song Gwanbeom, Lee Eun-sang, Yoon Seok-joong, Park Yong-cheol, Lee Heon-gu, Yun Bok-jin, and Kim Young-il were the reviewers who contributed to the discovery of new writers. Kim Tae-young and Kim Tae-o wrote on children’s songwriting, while Joo Yo-han and Nam Seok-jong wrote criticisms, which developed the readers’ creative skills. The authors of Aisaenghwal(Child’s Life) were Christian figures such as pastors and believers. It was a natural result as Aisaenghwal(Child’s Life) was published for religious purposes called literary mission work. Among the literary people, there were relatively many participants from ‘Foreign Literature Group(해외문학파)’ and the ‘Research Association of Drama Arts(극예술연구회)’. Along with the correspondence of their ideological direction, it is presumed that Choe Bong-chik, who was active in the ‘Research Association of Drama Arts’, played a bridge role.
There were relatively many contributions by local juvenile writers from the Northern Korea region. This is because there were many missionary bases in the area at that time, who as part of the educational missions established missionary schools, which consequently produced many graduates that participated in Aisaenghwal(Child’s Life) as writers.
The actual supervision of Aisaenghwal(Child’s Life) was conducted consistently by pastor Jeong In-gwa. His Christian nationalism was plainly reflected in the magazine. The magazine’s relative freedom from censorship despite its nationalistic contents was thanks to the Christian missionaries who had an international network of solidarity. However, it can be said that the magazine had limitations of intentionally ignoring the colonial reality where national contradictions and class contradictions overlapped.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한국 근대 아동문학의 전개 양상과 『아이생활』
3. 맺음말
Abstract
참고문헌
키워드
아이생활
조선주일학교연합회
조선야소교서회
정인과
허대전
반우거
선교사
주금(株金)
기독교 민족주의
친일 아동문학
검열
소국민(제2세 국민)
총후
수양동우회
전시동원 체제
황민화
Aisaenghwal(Child’s Life)
KSSA
The Christian Literature Society of Korea
Jeong In-gwa
James Gordon Holdcroft(허대전)
Gerald William Bonwick(반우거)
Missionary
subscription money for stock
Christian Nationalism
pro-Japanese Children’s Literature
Censorship
Children(소국민)
The Rear(총후)
Suyangdonguhoe(수양동우회)
Wartime Mobilization System
Japanization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간사] 계속되어야 할 자료와의 친절한 만남
- 휘문교우회『회원명부』에 대하여
- 임순득 소설의 ‘전쟁 미망인’과 북한의 ‘사회주의 농업협동화’
- 『아이생활』에 게재된 만화 연구
- 『신문예(新文藝)』 2호(1924.3)에 실린 고한승의 동화극 〈해와 달〉의 특징
- 근대서지 제24호 목차
- 해방기 간행잡지 목차 정리
- [詩] 손벌초
- [詩] 슬픈 거울
- 새로 찾은 정현웅의「서양미술이야기」
- [發掘散文(재수록)] [學生文壇] 어머니께
- 『조선미술』외
- 안룡만 시 이해를 위한 바탕
- 분단과 전쟁을 가로지른 번역가 남욱의 초상
- 『아이생활』의 이념적 지향성 연구
- 『미술』및『조선미술』해제
- 『근대서지』투고규정 외
- 編輯後記
- [詩] 아기의 말
- 해방되지 못한 여성담론
- 식민지 초기 조선의 일본어 보급 현황
- 극작가 함세덕과 식민지시기 아동의 현실
- 일제강점기에 있어서 전쟁과 한일아동문학
- 방각본 척독집『간례휘찬』의 이본과 제첨
- 춘천(春川), 약사명동을 거쳐 간 예술가의 조명
- [散文] 코로나와 어우러진 요코하마-서울-다낭
- 한국 근대 아동문학과 『아이생활』
- 『진달래꽃』영인본의 저본 확정과 영인본 왜곡 양상의 비판적 검토
- 유성기 음반 소책자의 이모저모 1
- 김소운 주재 과외아동잡지에 협력한 일본인들
- 『맥』5집의 발굴과 서정주의 새로운 시 「妖術」
- 『아이생활』 유년꼭지의 시기별 특성 연구
- [詩] 가을의 빛
- 1910년대 『교과용도서일람』재독(再讀)
- 잡지『가면(假面)』의 재구(再構)
- 세계를 보는 두 개의 눈
- [發掘散文(재수록)] 美術의 朝鮮的 敎養 歡迎美展을 본 感想
- [發掘散文(재수록)]『(日刊)藝術通信』記事 3편
- 휘문교우회 『회원명부』(1928)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문헌정보학분야 BEST
- [一般論文] 해방기 잡지 『부인(婦人)』에 나타난 여성 계몽의식
- [卷末資料ㆍ影印] 영인 『申不出 넌센스 대머리 百萬風』(화봉문고 제공)
- [文學 書誌] 카프 비평가 출신 월북 작가의 해방과 전쟁 형상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