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혈족상속인에 의한 상속포기의 효과

이용수 80

영문명
Legal Effect of Renunciation of Inheritance by Blood Relatives
발행기관
한국사법학회(구 한국비교사법학회)
저자명
현소혜(Hyun, Sohye)
간행물 정보
『비교사법』比較私法 제29권 제1호, 211~23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2.28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대법원 2015. 5. 14. 선고 2013다48852 판결은 배우자와 자녀가 공동상속을 한 상태에서 자녀 전부가 상속을 포기한 경우에 상속인이 될 자에 관해 이른바 ‘공동상속설’을 택하였다. 피상속인의 배우자와 자녀 중 자녀 전부가 상속을 포기한 경우에는 배우자와 피상속인의 손자녀 또는 직계존속이 공동으로 상속인이 된다고 판시한 것이다. 하지만 민법 제1043조는 “상속인이 수인인 경우에 어느 상속인이 상속을 포기한 때에는 그 상속분은 다른 상속인의 상속분 비율로 그 상속인에게 귀속된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이때 다른 상속인에는 혈족상속인뿐만 아니라 배우자도 포함되므로, 공동상속인이었던 자녀 전부가 상속을 포기한 경우에 그 상속분은 배우자에게 귀속되어 배우자가 단독상속한다고 해석하여야 한다. 일부 견해는 민법 제1043조의 “다른 상속인”에 배우자가 포함되지 않는다고 해석함으로써 혈족상속인의 상속 포기분은 다른 혈족상속인에게만 귀속될 수 있고, 배우자에게 귀속되지 않는다고 주장하나, 우리 민법은 일본 민법과 달리 배우자 상속분에 관해 고정주의가 아니라 연동주의를 택하고 있다는 점, 배우자상속과 혈족상속을 별개의 계통으로 보지 않는다는 점, 상속 포기를 대습사유로 규정하고 있지 않다는 점 등에 비추어 볼 때 민법의 체계적 해석상 민법 제1043조의 “다른 상속인”을 혈족상속인으로 축소해석하는 것은 허용될 수 없다. 또한 일부 견해는 1촌인 자녀가 모두 상속을 포기한 때에는 2촌인 손자녀 또는 직계존속이 민법 제1000조 및 제1003조의 규정에 따라 본위상속을 할 수 있으므로, 배우자는 본위상속을 하는 혈족상속인과 공동상속을 하게 된다고 주장하나, 공동상속인 중 일부만이 상속을 포기한 경우에는 민법 제1043조가 민법 제1000조 이하의 규정보다 우선적용되어야 한다. 공동상속인 전원이 상속을 포기한 경우라면 민법 제1042조의 소급효에 따라 상속개시 당시부터 상속인이 될 자가 없었던 것이 되므로, 민법 제1000조 이하의 규정에 따라 상속인이 될 자를 확정하는 작업부터 다시 시작할 필요가 있으나, 공동상속인 중 일부만 상속을 포기한 경우라면 제1043조에 따라 즉시 상속분을 계산하는 것으로 족하며, 굳이 민법 제1000조 이하의 규정에 따른 상속인 확정 작업을 반복할 필요가 없다. 그렇게 해석해야 우리 민법이 일본 민법과 달리 민법 제1043조를 제1042조와 구별하여 규정한 실익이 있다. 배우자상속권의 보호나 상속포기자의 합리적 의사해석이라는 측면에서도 단독상속설이 타당하다.

영문 초록

Who is entitled to share the estate, if all of the children disclaim the inheritance among co-heirs consisting of a spouse and children? The Supreme Court declared on May 14, 2015 that a spouse and grandchildren or a spouse and lineal ascendants shall be co-inheritors in such a case(2013da48852). However, Article 1043 of the Korean Civil Act provides that disclaimer’s share of inheritance shall revert to the other inheritors in proportion to their respective shares thereof if there exist two or more inheritors, and one of them has effected a renunciation of inheritance, which means all the portion of the inheritance disclaimed by children shall revert to the spouse so that the spouse can be the only heir in the opening case. Some stand by the position of the Supreme Court arguing that the spouse is not included in “the other inheritors” under Article 1043 of Civil Act, but such a restrictive interpretation is not consistent with the whole succession system of Korean Civil Act, such as the determination of the spouse’s share linked with the number of children, the exclusion of representation by grandchildren in case of renunciation of inheritance by children. Some supports the precedent with the articles on the ranking of inheritors, but such an approach makes it obsolete to retain the Article 1043 as a separate provision from Article 1042 of Korean Civil Act. The precedent is not reasonable in view of protection of spouses’ inheritance right or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disclaimer’s intention, either.

목차

Ⅰ. 서론
Ⅱ. 배우자 단독상속설의 타당성
Ⅲ. 공동상속설의 문제점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현소혜(Hyun, Sohye). (2022).혈족상속인에 의한 상속포기의 효과. 비교사법, 29 (1), 211-235

MLA

현소혜(Hyun, Sohye). "혈족상속인에 의한 상속포기의 효과." 비교사법, 29.1(2022): 211-2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