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조 문인의 無等山 유람과 시적 형상화

이용수 4

영문명
Literary Persons Excursion to Mt. Mudeung in Joseon Period and their Poetic Representation
발행기관
동방한문학회
저자명
朴明姬(Park, Myoung-hui)
간행물 정보
『동방한문학』제46호, 1~2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3.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고는 조선조 문인들이 무등산 유람을 통해 남긴 시문 형상화의 대상과 그것에 나타난 특징을 살피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무등산을 유람한 옛 문인들은 아마도 산의 인상적인 부분을 잡아 시문의 소재로 삼았을 것인데, 대체로 무등산 전체를 형상화한 작품, 사찰 공간을 형상화한 작품, 그리고 자연경물을 형상화한 것들로 대별할 수 있었다. 첫째, 무등산 전체를 형상화한 작품의 경우, 산 전체의 승경 묘사를 통한 이미지화를 시도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는데, ‘진산의 이미지’, ‘영구의 이미지’, ‘총석의 이미지’ 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둘째, 사찰 답사 시문 중에서는 사찰 공간을 어떻게 인식했느냐에 따라서 유흥탐승의 공간, 탈속한정의 공간, 유불교유의 공간 등으로 대별할 수 있었다. 이러한 양상은 다른 사찰에서도 충분히 드러날 수 있는 보편적인 것으로서 무등산만의 특성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보편적인 양상 속에 숨겨진 작품들의 면면에서 나름의 특성을 찾고자 하였다. 셋째, 자연경물을 대상으로 한 작품을 검토한 결과, 많은 작품이 상상력이라는 문학적 장치를 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자연경물에서 느끼는 신비로움 때문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결국 무등산 자체가 가지고 있는 무한한 상상의 힘을 키우는 중요한 기제로 자리할 것으로 결론지었다. 본 논고는 마지막으로 앞으로 무등산에 대한 연구는 권역을 넓힌 세밀한 자료 수집이 선행되어야 하며, 한문학 자료를 현대적인 감각에 맞게 해석할 수 있는 충분한 자료 제공을 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단, 충분한 자료 제공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깊이있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며, 이럴 때에만 내용에 대한 설득력을 확보할 수 있으리라고 보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subjects of poetic representation obtained through excursion to Mt. Mudeung of literary persons in Joseon period and their characteristics. It is thought that the literary persons used impressive things of the mountain as materials of poetry and the poetry is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themes: whole mountain, temple, and natural objects. First, in respect to the representation of the whole mountain, its beautiful scenery is represented in images. The images are divided into image of true mountain’, ‘image of permanence’, and ‘image of standing rocks.’ Second, The poetry describing temple exploring is roughly categorized according to space of entertaining and exploring, space of unconventionality, and space of association of Confucianism with Buddhism based on how space of temple was recognized. Such aspect may not be the only characteristic of Mt. Mudeung as it is generally found in other temples. However, special characteristics are found from various aspects hidden under universal aspects. Third, when the poetry using natural objects as materials was analysed, it was discovered that a number of poems used a literary device of imagination. It was designed to represent mysterious sense felt from natural objects.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it will be an important mechanism which will increase the power of infinite imagination of Mt. Mudeung.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careful collection of data through further research with broader ranges is needed and enough data should be presented to interpret data on Chinese literary classics in more contemporary basis. However, to present sufficient data, more intensive research is needed through which persuasive results can be presented.

목차

1. 머리말
2. 無等山 유람과 시문의 제작
3. 시적 형상화의 대상과 특징
4. 남은 문제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朴明姬(Park, Myoung-hui). (2011).조선조 문인의 無等山 유람과 시적 형상화. 동방한문학, (46), 1-20

MLA

朴明姬(Park, Myoung-hui). "조선조 문인의 無等山 유람과 시적 형상화." 동방한문학, .46(2011): 1-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