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7세기 碑誌文 창작양상 고찰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Historical Awareness of Epitaph Writers in the 17th Century -focused on four Nammyeng-epitaphs-
발행기관
동방한문학회
저자명
鄭敬薰(Jung, Kyeng-hoon)
간행물 정보
『동방한문학』제51호, 1~1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6.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17세기 비지문 창작의 양상으로 南冥神道碑文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남명신도비문은 모두 4명에 의해 찬술되었고 현재 4종이 전해져 오고 있다. 神道碑文 이외에 墓表나 墓碣文, 墓碑文 등 한 인물에 대해 저작되는 다양한 형식의 비지문은 이전부터 있어왔고 한 편 이상의 묘표나 묘갈문, 묘비문도 간혹 존재하지만 한 인물에 대해 4명이 각각 신도비문을 지은 경우는 남명신도비문이 독보적이다. 비지문의 속성상 대상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후대 자손과 문인들의 이해관계에 의해 저작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남명신도비문은 하나의 문체로 한 사람을 대상으로 네 사람의 입장에서 기술하고 조망했다는데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4종의 남명신도비문은 찬술자의 문학관에 따라 미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내암의 경우, 여타 작품보다 가장 이른 시기에 찬술되어 비문의 외형적 면모 보다는 남명학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내실 있는 서술에 주력을 했다. 그러므로 남명학파의 적전제자로서 소임에 주력했고 외형에 집착하기 보다는 자신의 학문관인 道德과 實을 바탕으로 저술하였다. 용주의 경우, 三長(才·識·學)·五難(煩而不整, 俗而不典, 書不實錄, 賞罰不中, 文不勝質)의 독특한 史觀을 바탕으로 저술하였다. 그는 신도비문의 중심 내용을 고사의 인용을 통해 비문의 내용과 외형적 문체를 적절히 조화를 이루고자 하는 시도하였다. 미수의 경우, 사실 그대로 기록하려는 노력으로 기술의 嚴正을 통해 철저한 사실 위주의 기록을 추구하였다. 미수는 古文의 法度를 받아 사실 기록의 輕重을 따지지 않고 한 글자 한 구절도 산만한 것이 없이 簡古하게 쓰며 記事의 法度는 큰일은 상세히 적고 작은 것은 생략하며 꽃다운 것은 취하지만 중요한 것은 더욱 부각 시킨다는 記事 원칙에 입각하여 서술하였다. 비록 후손이나 문인들의 청탁으로 이루어진 것이지만 자신의 엄정하고 올곧은 기술은 어떠한 타협도 있을 수가 없었고 비문의 찬술자 보다는 史官의 입장에서 기술하였다. 우암의 경우, 내암·용주·미수 보다 남명과 대립적 관계에 있었지만 정파적, 학문적 대립에서 탈피하여 서술하였다. 특히 인물의 업적보다는 인물의 성품에 따라 포폄을 달리 하고자 하는 태도인 序其爲人의 문학관은 남명을 당파적 영수에서 시대의 師表로 승화시켰다.

영문 초록

It is difficult to find out a work which not only was written by several authors but also has a consistent writing style. However, Nammyeng-epitaphs were written by four great scholars in a relatively short time. Epitaphs had a function that passed down valuable heritage to future generation, but they were degraded to a typical writing with elaborate styles. Nammeyng-epitaphs are very deserved to get noticed as they were written by four scholars but focused on just a man of his time. There is a small difference in Nammeyng-epitaphs on this study through points of view in literature and studies. In the case of Jung In-hong, he introduced his writing much faster than other writings. He tried to write it to build up the identity of Nammyeng School rather than make writing appearance elaborate. Therefore, his writing was based on morality and hypostasis so it is much simpler than other Nammyeng-epitaphs. For Jo Gyeng, he tried to work based on three advantages and five difficulties. That is, there are talent, knowledge, and studies in three strengths. In addition, there are five weaknesses such as being complex and vulgar, telling the truth, getting awards or punishments, and having literary talent. For Heo Mok, he intended to record a great amount of truth so he does not matter its level of difficulty. Also, he was devoted to emphasizing more important things than others in his writing. Song Si-yeol was directly opposed the recognitions of Nammyeng compared with other three writers, but he was working out of political position. Especially, he described the subjects focusing on his personality more than his achievements.

목차

1. 서론
2. 來庵 鄭仁弘의 道德과 實 추구
3. 龍洲 趙絅의 三長 五難 추구
4. 眉叟 許穆의 客觀과 嚴正 추구
5. 尤庵 宋時烈의 序其爲人 추구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鄭敬薰(Jung, Kyeng-hoon). (2012).17세기 碑誌文 창작양상 고찰. 동방한문학, (51), 1-18

MLA

鄭敬薰(Jung, Kyeng-hoon). "17세기 碑誌文 창작양상 고찰." 동방한문학, .51(2012): 1-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