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楓石 徐有榘와 『周禮』 「考工記」

이용수 5

영문명
Pungseok Seo Yu-gu and 「Jurye (周禮)」 s 「Gogonggi (考工記)」
발행기관
동방한문학회
저자명
曺蒼錄(Jo, chang-roc)
간행물 정보
『동방한문학』제51호, 1~13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6.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서유구의 이름은 有榘, 자가 準平인데, 그 이름과 자는 匠人들이 사용하는 도구인 곱자와 수준기를 의미한다. 「고공기」는 13경의 하나인 『주례』의 여섯 번째 편명으로, 중국 고대 장인들의 기술서이다. 서유구는 글공부를 하던 시절 「고공기」를 애호하여 ‘대장부의 글’이라고 하였고, 박제가의 『북학의』에 서문을 쓴 조부 서명응 또한 「고공기」를 숙독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또 청대 고증학의 유행과 함께 중국과 조선의 일부 지식인들은 「고공기」를 중국 진나라 이전의 거의 유일한 과학기술서로 주목하여 왔다. 필자가 보기에 이러한 사실들은 작게는 서유구 집안의 학문적 지향을 대변해 주는 것임과 동시에, 크게는 조선후기 실학의 추이와 관심사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현상이 아닌가 여겨진다. 본고는 이러한 생각에서 서유구를 중심으로 서유구와 「고공기」, 「고공기」의 체재와 그에 얽힌 논란들, 그리고 「고공기」에 대한 조선 지식인들의 평가에 대해 고찰해 본 것이다. 그 생각들을 정리해보면, 「고공기」는 세 가지 측면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첫째, 「고공기」는 그 문체가 古文의 모범을 보여준다는 점이다. 둘째, 「고공기」는 고대의 과학기술을 수록하였다는 점에서 西器中國源流說의 근거가 된다는 점이다, 셋째, 「고공기」는 조선후기 실학자들의 과학기술에 대한 연구를 사상적으로 뒷받침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이 점은 당시 실학의 주요 경향이었던 북학론 내지는 이용후생학과 무관하지 않은데, 박제가의 『북학의』와 정약용의 「기예론」 등이 이러한 경향과 궤를 같이 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서유구를 비롯한 여러 실학자들에게서 보이는 「고공기」에 대한 관심은 비록 그것이 서기동양원류설의 사상적 배경이 되기도 했지만, 동양의 옛 경전 안에서 이용후생의 과학기술을 찾으려는 노력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Seo Yu-gu s name is Yu-gu (有榘) that means the carpenter s square and his second name is Junpyeong (準平) meaning the level of craftsman. 「Gogonggi (考工記)」, the 6th chapter of 『Jurye(周禮)』, one of 13 classics, is a technical book for ancient Chinese craftsmen. Seo Yu-gu, in his studying days, loved to read 「Gogonggi」, calling it the writings for man . It seems that Seo Myeong-eung, grandfather of Yu-gu who wrote preface on the 『Bukhakui』 of Park Je-ga, also read intensively that book. As documental archaeology were popular in Qing dynasty, some Joseon intellectuals gave attention to 「Gogonggi」, considering it as the only technical book written before ancient Chinese Qin dynasty. These facts show the orientation of learning of Seo family as well as, at large, the issues and trend of Silhak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in the late Joseon. From such thinking, this paper examined Seo Yu-gu and 「Gogonggi」, system of the book and its related arguments, and the evaluations of that time intellectuals on the book. 「Gogonggi」 could have meanings in three aspects. At first, the style of 「Go- gonggi」 is the model of ancient writings(古文). Secondly, in that it includes ancient technologies and science, it became the ground of a theory (西器中國源流說) that western technology is originated from China. Thirdly, in the late Joseon, it supported ideologically Silhak scholars to study technologies and sciences. This fact, in particular, has some relations with Bukhakron (北學論) or pragmatic welfare theory (利用厚生學), the main trends of Silhak in that time. Good examples of those trends are the 『Bukhakui』 of Park Je-ga and 「Giyeron(技藝論)」 of Jeong Yak-yong. From that point of view, the attentions given to 「Gogonggi」 by Silhak scholars including Seo Yu-gu can be said a result of efforts to find pragmatic scientific technologies out of old oriental scripture, though it happened to become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the theory that China is the origin of western technology.

목차

1. 머리말
2. 徐有榘와 「考工記」
3. 「考工記」의 체재
4. 「考工記」에 대한 평가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曺蒼錄(Jo, chang-roc). (2012).楓石 徐有榘와 『周禮』 「考工記」. 동방한문학, (51), 1-13

MLA

曺蒼錄(Jo, chang-roc). "楓石 徐有榘와 『周禮』 「考工記」." 동방한문학, .51(2012): 1-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