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韓譯 聖書의 補完點

이용수 0

영문명
The translation of The Holy Bible into the Korean language and on the Problem of Complement Thereof - Centered on the Four Gospels -
발행기관
동방한문학회
저자명
張光鎭(Jang, Gwang-jin)
간행물 정보
『동방한문학』제51호, 1~2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6.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번역은 창문을 열어젖히고 빛이 들어가게 하는 것이요, 껍질을 깨고 알맹이를 먹게 하는 것이며, 장막을 걷고 가장 성스러운 곳을 보게 하는 것이요, 우물 뚜껑을 열고 물을 얻게 하는 것이다. 번역이란 외국어로 된 글이나 작품을 자국의 말로 옮기는 것이지만, 그 언어가 속해 있는 문화를 옮기는 일이기도 하다. 언어란 문화라는 어버이한테서 태어난 자식이기에, 그 문화를 모르고서는 번역을 제대로 할 수 없다. 문화를 번역하는 일은 살아 숨 쉬는 사람에 비유할 수 있다. 육체는 말할 것도 없고, 그 육체 속에 숨 쉬고 있는 영혼까지 옮기기 위해서는 문화를 잘 알아야 한다. 성서 번역은 기독교 경전인 성서를 다른 나라 말로 단순하게 옮기는 것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신앙과 신앙과의 교류, 사상과 사상과의 교류, 문화와 문화와의 교류를 포함한다. 본 논문의 요체는 한문본 성서에서 성서의 한역화 과정에 나타난 번역에 보완해야 할 필요가 있어 연구하게 되었다. 초기 한글 번역 언어가 후기 한글성서 어휘에 미치고 있음을 규명하여, 성서 한역의 보완점을 살펴보았다. 성서를 주된 연구 대상으로 하는 학문인 성서신학은 서양 최고의 학문으로 정확성을 그 생명으로 한다. 서양에서 성서신학이 최고의 학문적 체계를 갖추고 정확성을 추구하였다면 한역된 성서에서도 그에 준하는 정확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복음의 전파가 시급했던 시기에 번역된 성서는 그 나름의 의미를 지니지만 서양 신학에 준하는 위치를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성서 번역의 정확성 역시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바로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성서 번역의 성과와 보완점을 살펴 문제가 있으면 문제를 드러내어 향후 성서 해석을 보다 정확하게 하는데 일정 정도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구의 연구 방법은 한문본 성서를 저본으로 하여 먼저 직역을 하고, 최초로 한글로 번역된 로스 역본과 대조한 이후에, 각 번역본들과의 비교를 통해 번역의 한계를 찾은 다음, 보완점을 제시하는 방법으로 진행이 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로스 역본(Ross Version, 1887)과 兪星濬이 識者層을 대상으로 하여 번역한 성경 󰡔新約全書 국한문󰡕, 국외에서 번역된 성경을 참고로 하여 국내 성서번역위원회에서 번역한 舊譯本 및 최근에 번역된 개역개정본을 대조하여 살펴봄으로써 성서 한역의 보완점을 규명해보았다. 성경은 66권이라는 방대한 양으로 이루진 책이다. 따라서 본고에서 연구하고자 선정한 범위는 「新約全書」중 “四福音書”를 그 연구 대상으로 삼아 성서 한역의 보완점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영문 초록

Translation signifies that it lets a window be opened wide and lets light enter the room, signifies that it bursts the shell, and after that makes people eat inner substance, signifies that it draws a curtain and after that makes people look at the holiest place, and signifies that it opens the cover of a well and makes people drink water in it. Translation means that a translator changes the book written in a foreign language into the other text written in his own native language, and at the same time. it means that he changes the culture which a foreign language belongs to into his own culture. As language is a son which culture, his father gives birth to, we can not translate fully, without understanding culture. To translate the Holy Bible does not stop at the point of translating the Christian canon into the other language, but it involves interchange between two faiths, interchange between two thoughts and interchange between two cultures. This research begins with necessity that we should complement something in the course of translating the Chinese version of the Holy Bible into the Hangul version of the Holy Bible. After I examined closely how the Hangul words used in the former translated version had influence on the vocabulary used in the latter translated version, I researched into a way in which we could complement weak points whenever we try to translate the Holy Bible into the Korean language. I found up that the main body of this translation was the Korean translators who translated the Chinese version of the Holy Bible into the Hangul version of the Holy Bible. In this research the procedure for me to take this, first of all, to determine a Chinese version of the Holy Bible as an original text; then to translate it literally. In the second step, I compared mine with the first Hangul Version, Ross Version, 1887. In the third step I compared mine with many other translated versions, when I find out each limitation of these translated books. Finally I suggest a remedy for each one of translations. For the purpose of such a research, consulting Ross Version, 1887, You Seong-jun s version The New Testament, use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in combination. for the benefit of the learned and the versions translated in the foreign lands, I have compared these versions with the Old Version translated by the Bible-translating-committee in Korea and the newly translated version, and examined the problem to complement in the course of translating the Bible into Korean. The Holy Bible is a great book which is composed of the 66 books. therefore, I have chosen the Four Gospels in the New Testament and have researched into them. After that work I examined closely the type of the problem to complement during the work of translating the Bible.

목차

1. 서론
2. 韓譯 聖書의 補完點
3.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張光鎭(Jang, Gwang-jin). (2012).韓譯 聖書의 補完點. 동방한문학, (51), 1-20

MLA

張光鎭(Jang, Gwang-jin). "韓譯 聖書의 補完點." 동방한문학, .51(2012): 1-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