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직장인의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과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인식과의 관계에서 장애인 접촉경험의 매개효과

이용수 469

영문명
The Mediation Effect of Contact with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Sense of Social Distance from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Perception toward Employees with Disabilities: Comparison between firms employing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not
발행기관
한국장애인재활협회
저자명
박수경(Sookyung Park) 조재환(Jaehwan Cho) 남혜령(Hyeryeong Nam) 임정우(Jungwoo Lim)
간행물 정보
『재활복지』재활복지 제25권 제4호, 81~10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에 대한 직장인의 사회적 거리감이 장애인과의 알상적, 긍정적, 부정적 접촉경험을 매개로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장애인 근로자 재직 여부별로 구분하여 검증하고 이 결과를 토대로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을 위한 차별화된 개입 방안을 제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사업체에 재직 중인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368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미고용 사업체와 장애인고용 사업체 직장인들 모두 장애인과의 사회적 거리가 멀다고 느낄수록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인식은 부정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접촉경험의 하부영역 중 긍정적 접촉경험은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과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인식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였고 이러한 매개효과는 장애인미고용 사업체 직장인에게만 유의하였다. 셋째, 장애인고용 사업체 직장인의 경우 장애인과의 부정적 접촉경험이 긍정적 접촉경험보다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인식에 상대적으로 더 강한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인식개선을 목표로 한 개입 시, 장애인미고용 사업체와 장애인고용 사업체 모두 사회적 거리감과 같은 장애인에 대한 차별적 태도를 줄이는 데 초점을 두어야 하며, 이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장애인미고용 사업체의 경우 장애인과의 긍정적 접촉의 빈도를 높이는 데, 장애인고용 사업체의 경우 비장애인 근로자와 장애인 근로자 간의 부정적 접촉을 줄이는 데 집중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diation effects of contact experiences (daily, positive, and negative contact experienc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employees social distance from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ir perception toward employees with disabilities by firms employing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not. The 368 participants are employees working at firms located in Gyeonggi-do.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the farther the social distance from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more negative the perception of employees with disabilities. Second, among the types of contact experiences, positive contact experienc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distance from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perception toward employees with disabilities only in the employees of firms not employing people with disabilities. Third, in the employees of firm employing people with disabilities, any type of contact experiences did not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distance and perception toward employees with disabilities. Interestingly, the negative contact experience with people with disabilities had a relatively stronger nega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employees with disabilities compared to the positive contact experience. These findings show that it is needed to focus on strategies for increasing positive contact with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firms that do not employ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on strategies for reducing the negative contact between employees without disabilities and employees with disabilities in the firms that employ with disabilities.

목차

Ⅰ. 서 론
Ⅱ. 문헌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수경(Sookyung Park),조재환(Jaehwan Cho),남혜령(Hyeryeong Nam),임정우(Jungwoo Lim). (2021).직장인의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과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인식과의 관계에서 장애인 접촉경험의 매개효과. 재활복지, 25 (4), 81-108

MLA

박수경(Sookyung Park),조재환(Jaehwan Cho),남혜령(Hyeryeong Nam),임정우(Jungwoo Lim). "직장인의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과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인식과의 관계에서 장애인 접촉경험의 매개효과." 재활복지, 25.4(2021): 81-1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