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옹호연합모형에서의 정책변동 경로와 정책지향학습에 관한 연구

이용수 350

영문명
A Study on Policy Change Path and Policy-Oriented Learning in Advocacy Coalition Framework:A Meta-analysis of Korean Policy Cases
발행기관
한국국정관리학회
저자명
김초원(Chowon Kim) 장현주(Hyunjoo Chang)
간행물 정보
『현대사회와 행정』第31卷 第4號, 51~7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옹호연합모형에서 정책변동의 주요 경로는 무엇이며, 정책중개자는 누구인지, 그리고 옹호연합들의 신념체계가 변화되는 과정에서 정책지향학습이 있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옹호연합모형을 적용한 기존 연구들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한국의 정책사례에서 정책지향학습이 가장 많이 일어난 분야는 SOC 건설 및 공공갈등 분야인 반면, 정책지향학습이 가장 많이 일어나지 않은 분야는 규제 분야 외 보건 의료분야이었다. 또한 정책지향학습이 일어난 사례에서는 정부가 주요 정책중개자의 역할을 수행한 반면, 정책지향학습이 일어나지 않은 사례에서는 정부 뿐 아니라 정부와 민간 간 협의체가 주요 정책중개자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아울러 옹호연합의 신념체계에 대해 객관적 자료로 분석이 용이할 경우 정책지향학습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책지향학습에 의한 정책변동의 가능성 보다는 옹호연합 간 갈등 수준이 높아질수록 정책변동의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분석을 통해 정책지향학습을 어떻게 정의하는지에 따라 정책지향학습의 발생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또한 정책중개자의 존재 양식이나 역할과 정책지향학습이 언제, 어떻게, 그리고 어떠한 유형으로 나타나고 정책변동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서는 한국의 정책사례에서는 명확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정책지향학습이라는 개념의 모호성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main path of policy change in the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who was the policy broker, and whether there was policy-oriented learning i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advocacy coalition’s belief system. For this purpose, meta-analysis was performed on existing studies to which the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was applied. In Korea’s policy case, the fields in which policy-oriented learning occurred the most were SOC construction and public conflict, whereas the fields in which policy-oriented learning did not occur the most were health and medical fields as well as regulation. 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policy-oriented learning occurred, the government played the role of a major policy broker, whereas in the case where policy-oriented learning did not take place, not only the government but also the government-private consultative body played the role of the main policy broker. Also, if the belief system of the advocacy coalition is easy to analyze as objective data, it is highly likely that policy-oriented learning will occur. Lastly, it was confirmed that the possibility of policy change increases as the level of conflict between advocacy coalitions increases, rather than the possibility of policy change through policy-oriented learning. Through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occurrence of policy-oriented learning can vary depending on how policy-oriented learning is defined. In addition, the Korean policy case did not show clear results regarding when, how, and what types of policy brokers exist and how they exist and how they affect policy changes. This seems to be due to the ambiguity of the concept of policy-oriented learn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및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초원(Chowon Kim),장현주(Hyunjoo Chang). (2021).옹호연합모형에서의 정책변동 경로와 정책지향학습에 관한 연구. 현대사회와 행정, 31 (4), 51-79

MLA

김초원(Chowon Kim),장현주(Hyunjoo Chang). "옹호연합모형에서의 정책변동 경로와 정책지향학습에 관한 연구." 현대사회와 행정, 31.4(2021): 51-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