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60~1970년대 증평협업농장의 설립과 운영과정 연구

이용수 69

영문명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Jeungpyeong Cooperative Farm in the 1960s and 1970s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김소남(KIM, SO-NAM)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97집, 249~294쪽, 전체 46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8,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1960년대 말 충북지역에서 관 주도에 의해 설립된 협업농장의 내용과 특징, 1965년 안동준의 일본 산안회 방문과 1968~1969년 조한규를 중심으로 개최된 특강의 내용과 특징, 증평협업촌의 창설을 주도했던 안동준이 괴산군을 통해 구상했던 괴산지구 농공협업단지의 조성계획과 특징, 증평협업농장의 창립과정과 이에 참여한 주요 구성원, 1970년대 증평협업농장이 청주원협과 연결되어 증천작목반을 구성하고 활동한 내용, 충북육우개발협회의 대부우 지원을 계기로 부락개발사업에 참여하고 민간 주도의 협업농장을 만들어간 과정, 농장경영의 특징과 산안회와의 관계 등을 중심으로 1960~70년대 증평협업농장의 설립과 운영과정을 연구한 것이다. 1960년대 후반 충북지역에서 협업농업 육성계획에 따라 관내 12개 시·군에서 96개의 협업농장이 관 주도로 선정 운영되었다. 그러나 이들 협업농장은 졸속으로 설립되는 경우가 많았고, 행정기관의 지원과 의존에서 벗어나 지속가능한 민간 주도 협업농장으로의 전환에 실패하면서 1970년대 초 협업농장들의 활동은 중단됐다. 1965년 일본 야마기시회 실현지를 방문했던 안동준은 산안회식 공동체가 한국사회에 적용이 가능한 중요한 사례로 인식하였고, 조한규를 끌어들여 증평협업촌의 창설을 위한 역할을 하도록 추동하였다. 1969년 2월 1969년도 농어민소득증대특별사업에 의해 괴산지구 농공협업단지에 대한 자금지원이 결정되면서 안동준은 본격적으로 증평협업촌을 설립해 나갔다. 또한 미싱자수공장 등을 설치·운영하기 위해 증평협업촌 내에 충북농공주식회사를 설립하였다. 그러나 증평협업촌 창립에 참여한 구성원들이 대거 탈퇴하고, 기계의 구입과 기능공 양성이 제대로 추진되지 못하면서 농공협업촌의 초기운영은 큰 위기에 직면하였다. 1973년 행정기관의 지원이 점차 감소되면서 관 주도적 성격이 강했던 증평협업농장은 운영의 안정화를 위한 모색과 민간 주도 협업농장으로의 전환 필요성에 직면하였다. 그 결과 증평협업농장은 먼저 청주원협과 연결되어 증천작목반을 구성하여 활동하였다. 또한 1977년부터 4년간 총 45두를 대부우를 받으면서 충북육우개발협회가 주도하는 부락개발운동에 참여하였다. 1970년대 증평협업농장의 주요 구성원들이 산안회의 특강을 모두 이수하였으며, 한국산안회의 핵심지부로써 증평협업농장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증평협업촌은 괴산군의 괴산지역 농공협업단지 조성계획이 1969년도 농어민소득증대특별사업의 일환으로 채택되면서 관 주도적 성격을 강하게 띠고서 창립·운영되었다. 증평협업촌은 1960년대 후반 박정희정권의 농공병진정책과 충청북도가 주도한 관 주도 협업농장의 설립·운영의 연장선상에서 협업농장과 미싱자수공장 등 전면협업에 기반한 농공협업촌으로서 설립·운영되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졌다. 증평협업촌은 창립 초기 이전 시기의 협업농장과 유사하게 커다란 운영위기를 겪었음에도 주요 구성원들이 산안회의 공동체의식과 협업경영 경험, 농문연의 자문과 지도, 충북육우개발협회의 대부우 지원과 괴산지역 부락개발운동의 참여 등을 통해 민간 주도 협업농장의 중요 사례를 만들어 갔다는 점에서 커다란 차별성과 중요성을 가졌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is a study of the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Jeungpyeong Cooperative Farm(JCF) in the 1960s and 1970s. It focuses on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pecial training seminars held in the Jeungpyeong Cooperative Village in 1968-1969, on the development plan and characteristics of the Goesan Agricultural and Industrial Cooperative Complex, the process of founding the JCF and its key members, and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the village development project with the support of the Chungbuk Beef Cattle Development Association(CBDA). The JCF was meaningful in that it was established and operated as an agricultural industrial cooperative village based on full collaboration in the late 1960s. In addition, the JCF, which was launched as a government-led initiative, suffered from an initial operational crisis, but benefited from the community spirit and cooperative management experience of the Yamagisi Society, as well as advice and guidance from the Rural Affairs Research Institute. It was connected with the CBDA and made an important case for private-led cooperative farms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Gosean village development movement.

목차

1. 머리말
2. 1960년대 증평협업농장의 설립 배경과 산안회
3. 1970년대 증평협업농장의 창립과 운영
4.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소남(KIM, SO-NAM). (2021).1960~1970년대 증평협업농장의 설립과 운영과정 연구. 동방학지, 197 , 249-294

MLA

김소남(KIM, SO-NAM). "1960~1970년대 증평협업농장의 설립과 운영과정 연구." 동방학지, 197.(2021): 249-2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