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적장애 특수학교 방과후학교 무용강사의 수업 경험

이용수 49

영문명
Teaching Experience of After-school Dance Instructor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발행기관
공주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저자명
이혜진(Hyae, Jin, Lee) 전병운(Byung Un, Jeon)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논집』제21권, 117~14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1.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특수학교 방과 후 특기적성 강사인 연구자가 특수교육대상학생의 무용 수업을 하며 겪었던 고민과 체험 등을 자문화기술지적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나의 체험을 토대로 특수교육대상자의 방과 후 무용 수업을 하면서 생각하게 된 교육적 이슈와 딜레마를 제기함으로 현재 연구자가 하고 있는 체험들의 모습을 드러내고, 보다 나은 방향성을 위한 대안들을 숙고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연구자가 체험하고 있는 방과 후 무용수업의 모습과 문화적인 모습은 무엇인가?’이다. 연구에는 연구자인 나와 참여학생 4명이 참여하였다. 자료 수집은 메모, 노트, 사진자료, 메신저, 이메일 등의 수업과 관련되었던 모든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학생의 담임교사, 동료 검토자, 학부모의 면담 등을 통해 추가적인 정보를 얻기도 하였다. 연구결과로 나타난 의미 있는 에피소드는 ‘싫어하면 어쩌지?’, ‘어른과는 다르게 아이들은 약속을 지킨다.’, ‘아이들에게 선생님의 의미는 선생님이 아닌 것일 수도’, ‘무용 수업을 하며 아이들의 다른 면은 보지 못했던 나의 선입견’, ‘아이들의 사회’, ‘나를 생각해주세요’, ‘위축되게 만드는 문화 속에서 너는 당당해 져야 한다’, ‘조금은 아쉬움이 남는 무용실에 대한 사회 저변의 인식과 문화들’로 도출 되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나타난 종단적 코딩의 내용은 학생들과 ‘무용 수업을 하면서 알게 된 선입견에서 시작하는 문화’와 ‘무용 수업을 하며 알게 된 이미 저변에 깔려있는 인식’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my experiences I have encountered during the time when I was teaching dancing to the students with disorder, under my supervision. I was implementing the research tasks in a slef-ethonographic research method, and the procedure was based on my experiences and the framework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educational issues and dilemma reflected upon while I was giving dancing instructions to the students as special education recipients. For this purpose, the dancing instructions were provided to the students requiring special education as extra-curricular actitivities as well as to contemplate the effectiveness of the alternatives for the better solution. To complete the task, some suggestion was made in relation to the issue and this can be characterized as some research questions such as what makes the dancing class for the students receiving special education as extra-curricular activitiy and how does it look like as cultural being? For this purpose, four students and I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study, all the data were used as to the student’s class activities, including memo, notes, pictures, messengers, emails, and etc with some detailed information from student’s head teacher, peer investigators, and interviews from parents. The culturally meaningful episodes offered by the research results are represented as follows: ‘What if someone doesn’t like me?’, ‘unlike adults, children never break the promises, ‘the meaning of teachers for the students may not be the same as the teachers have,’ some biases and mistakes that I have neglected on student’s part’, ‘children’s society, please take care of me’, ‘you should be somewhat bold and confident about yourself in a culturally cowering, conservative atmosphere,’ ‘some misconceptions widespread in the mainstream society and cultures about dancing classroom lacking social care and cultural tolerance in a way’ and etc.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longitudinal coding, the results are turned out to be as follows: ‘cultural stereotypes awakened by beginning to teach dancing class to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awareness of the misconceptions widespread in the base of our socie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혜진(Hyae, Jin, Lee),전병운(Byung Un, Jeon). (2017).지적장애 특수학교 방과후학교 무용강사의 수업 경험. 특수교육논집, 21 , 117-146

MLA

이혜진(Hyae, Jin, Lee),전병운(Byung Un, Jeon). "지적장애 특수학교 방과후학교 무용강사의 수업 경험." 특수교육논집, 21.(2017): 117-1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