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근로시간 유연화가 여성 관리자의 일・가정 양립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49

영문명
The Effect of Flexible Working Hours on Work-Family Balance of Female Managers
발행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저자명
방진아(Jin-ah Bhang) 허순임(Soonim Hur)
간행물 정보
『여성연구』통권 제111호, 37~6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여성 관리자가 겪는 일・가정 갈등의 주요 원인으로 자녀 돌봄과 직장 일을 병행하면서 겪는 시간 압박에 초점을 두고 근로시간 유연화가 여성 관리자의 일・가정 양립에 미치는 영향과 제도 활용에 대한 결정 요인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개인, 기업, 특성과 함께 일・가정 양립과 관련된 조직 문화적 특성을 포함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제7차 여성관리자패널조사 (2018)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초등학생 이하 자녀를 둔 여성 관리자 862명을 대상으로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근로시간 유연화를 활용한 경우 여성 관리자의 자녀 돌봄 만족과 직업생활 만족이 높아졌으며, 특히 등・하원 시간의 압박이 큰 기관 돌봄 의존도가 높은 여성 관리자의 경우 근로시간 유연화의 긍정적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또한 제도 활용 이외에 조직 문화적 특성이 일・가정 양립 만족에 중요한 요인으로는 나타났다. 예를 들어 최고 경영자가 여성 인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일・가정 양립 배려 문화일수록 만족도가 높아졌으며, 밤늦게 남아 일하는 것이 평가에 유리하게 작용하는 문화일수록 만족도가 낮아졌다. 한편, 근로시간 유연화 활용 결정 요인으로는 노동조합이 구성되어 있고 근로자의 일・가정 양립을 배려하는 조직 문화를 가지고 있는 경우 활용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이처럼 근로시간 유연화는 근로시간 단축과 소득 감소 없이 근로시간 조정을 통해 여성 관리자의 일・가정 양립 만족을 제고 할 수 있으며, 장시간 근로문화 개선이 뒷받침된다면 제도효과가 더욱 높아질 수 있다는 점에서 여성경력단절 예방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기여 할 수 있는 중요한 정책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flexible working hours as a policy tool to relieve the time pressure of female managers and support work-family balance,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flexible working hours. To this e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862 female managers with children elementary school age using the 2018 female managers panel survey dat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hen flexible working hours were used, female managers satisfaction with childcare and job life increased. In particular, when the childcare method was highly dependent on institutional care, which had highly pressure on going to and from school, the positive effect of flexible working hours was significant. In addition, organizational cultural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satisfaction with work-family balance. For example, a culture that considers work-family balance in which the CEO s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female workforce increased satisfaction, and a culture in which working late at night is beneficial for evaluation lowered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as a determinant of the use of flexible working hours, if a labor union is formed and there is an organizational culture that considers work-family balance, the probability of using it is high. As such, flexible working hours can enhance the satisfaction of female managers with work-family balance by adjusting working hours without shortening working hours and reducing income. It can be used as an important policy tool that can contribute to prevention of career interruption and support for work-family balance.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논의 및 선행 연구 고찰
Ⅲ. 연구 설계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방진아(Jin-ah Bhang),허순임(Soonim Hur). (2021).근로시간 유연화가 여성 관리자의 일・가정 양립에 미치는 영향. 여성연구, , 37-66

MLA

방진아(Jin-ah Bhang),허순임(Soonim Hur). "근로시간 유연화가 여성 관리자의 일・가정 양립에 미치는 영향." 여성연구, .(2021): 37-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