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맞벌이 부부의 출・퇴근시간 결정요인 분석

이용수 158

영문명
An Analysis of Commuting Time in Dual-Income Couples
발행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저자명
최철환(Cheol Hwan Choi) 배호중(Ho-Joong Bae)
간행물 정보
『여성연구』통권 제111호, 97~138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20년 기준 유배우 가구의 절반 가까이(45.4%)는 맞벌이를 하고 있을 만큼 맞벌이가 보편화 되었지만 맞벌이 부부의 통근시간을 살핀 연구는 부족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이용해 맞벌이 부부의 통근(출・퇴근)시간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시간사용(time-use)을 둘러싼 의사결정 과정에 배우자의 영향력이나 관련성도 상당할 것이라는 판단 하에 배우자의 특성까지도 함께 고려하여 통근시간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맞벌이 가구 남편의 출근 및 퇴근시간이 아내의 출・퇴근시간에 비해 긴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남편은 높은 정도의 소득범주에 속할 경우 출근시간이 길었으나 아내에게서는 소득범주에 따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미취학가구원이 있을 경우 남편의 보다는 아내의 출・퇴근시간이 상대적으로 더 짧은 것으로 나타나 양육이 필요한 자녀가 있을 경우 남편보다는 아내의 경제활동에 보다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밖에 배우자의 소득수준에 따라서는 남편의 경우 배우자(=아내)의 소득이 높은 정도의 범주에 속할수록 출근시간이 긴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아내의 경우 배우자(=남편)의 소득이 높을수록 통근에 소요된 시간은 전반적으로 짧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여성 인적자본 활용의 사회적 비효율의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의 필요성을 촉구하였다. 이밖에 임금이나 고용형태, 근로시간 등과 같이 겉으로 드러나는 노동시장 조건뿐만 아니라 근로에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시간인 통근시간을 살펴보는 것도 노동시장에서의 성별차이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영문 초록

married couples (45.4%) were in dual income as of 2020,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commuting time in dual-income coupl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commuting time in dual-income couples by using the data from the Korean Time Use Survey(2019) and, on this basis, provide policy implications. Judging that a spouse would significantly affect or be involved in a process of decision-making on time use, particularly, commuting time was analyzed,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a spouse as well. The husbands had longer commuting time than the wives in the dual-income households; the husbands in higher-income categories had longer commuting time and income categorization made no difference for the wives. The presence of a preschool household member led to shorter commuting time for wives, indicating that the presence of a child who needs to be nurtured is likely to have a relatively stronger impact on economic activity of wives than on that of husbands. As for the income level of a spouse, the higher income category the spouse of husbands (i.e. wife) belonged to, the longer time they spent in commuting, whereas the more income the spouse of wives (i.e. husband) earned, the shorter time they generally spent in commuting.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e possibility that using women’s human capital could be socially inefficient was indicated and the need to make a policy for solving this problem was suggested. It was also emphasized that investigating commuting time essentially involved in work as well as the exposed labor market conditions, such as wage, employment type, and working time, could be of a great help in understanding gender differences in the labor market.

목차

I.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맞벌이 부부의 통근시간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철환(Cheol Hwan Choi),배호중(Ho-Joong Bae). (2021).맞벌이 부부의 출・퇴근시간 결정요인 분석. 여성연구, , 97-138

MLA

최철환(Cheol Hwan Choi),배호중(Ho-Joong Bae). "맞벌이 부부의 출・퇴근시간 결정요인 분석." 여성연구, .(2021): 97-1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