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디지털 패러다임과 문화콘텐츠 연구에 관한 제언

이용수 324

영문명
Proposal on Digital Paradigm and Cultural Contents Research: Focusing on Digital Interface, Digital Technological Image, and Transboundary Entities
발행기관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저자명
김소영(Soyoung Kim)
간행물 정보
『글로벌문화콘텐츠』제49호, 1~17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1.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대사회를 지배하는 디지털 패러다임은 학문의 영역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분과학문 간 경계를 넘나드는 통합연구를 요청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융합학문이라는 특성을 지닌 문화콘텐츠학의 정체성에 관한 질문을 제기하며, 디지털 매체와 연동된 문화콘텐츠의 생산⋅전달⋅향유 방식에 주목하게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매체에 담긴 문화적 내용물을 의미하는 문화콘텐츠의 보편적 정의를 구체화하여, 디지털 매체를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연구의 필요성과 구체적인 내용을 제안한다. 본고에서 제안하는 연구내용은 디지털 생태계의 세 가지 구성요소로 설정한 ‘디지털 인터페이’, ‘디지털 기술이미지’, 그리고 ‘탈경계적 디지털 개체’이다. 첫째로 디지털 인터페이스는 단순한 장치로서의 디지털 매개체뿐 아니라 사용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디지털 행위자로 간주하는 관점이며, 둘째는 시뮬라크르의 위상을 넘어선 디지털 기술이미지의 새로운 존재론적 위상에 관한 내용이며, 셋째는 디지털 가상세계에서 활동하는 디지털 개체들의 내부적 상호작용을 기술할 것이다. 전술한 내용을 통해 본 연구는 P. 레비의 표현대로, 문화콘텐츠학이 ‘살아있는 현존의 학’으로서 자연 생태계와 디지털 생태계가 얽혀있는 세계의 ‘모든 것’을 탐구하는학문으로 나아가야 함을 논구한 것이다.

영문 초록

The digital paradigm that dominates modern society has a great impact on the academic field and calls for integrated research that crosses the boundaries between disciplines. This phenomenon raises questions about the identity of Cultural Contents Studie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convergence studi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methods of production, delivery, and enjoyment of cultural contents, which are rapidly chang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Therefore, this study concretely defines the common definition of cultural contents, which means cultural contents contained in media, and suggests the necessity and specific contents of cultural contents research based on digital media. The research contents are ‘digital interface’, ‘digital technological image’, and ‘transboundary digital entities’, which are set as three components of the digital ecosystem. In other words, it pays attention to the digital interface that is converted from a digital medium as a simple device to a digital agent that affects users, deals with the new ontological status of digital technological images that go beyond the simulacre, and explores the internal interaction of digital entities in the digital virtual world. Cultural contents studies which converges contemporary trends through the above-mentioned research as P. Lévy expressed it as ‘the science of the living existence’, should advance to a study that explores ‘everything’ in the world where natural and digital ecosystems are intertwined.

목차

1. 머리말
2. 디지털 패러다임과 문화콘텐츠(학)의 향방
3. 디지털 매체 기반의 문화콘텐츠 연구
4.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소영(Soyoung Kim). (2021).디지털 패러다임과 문화콘텐츠 연구에 관한 제언. 글로벌문화콘텐츠, (49), 1-17

MLA

김소영(Soyoung Kim). "디지털 패러다임과 문화콘텐츠 연구에 관한 제언." 글로벌문화콘텐츠, .49(2021): 1-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