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가구 하드웨어 변화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Changes of Furniture Hard Ware in Korea: From the Joseon Era to Modern Times
- 발행기관
- 한국가구학회
- 저자명
- 조숙경(Sook-Kyung Cho) 문선옥(Sun-Ok Moon)
- 간행물 정보
- 『한국가구학회지』제23권 제2호, 122~129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article was intended as fundamental materials to recognize the current status of furniture hard ware in Korean market and to fix the identity of Korean furniture, by investigat-ing and comparing the furniture hard ware used in the Joseon era and in modern times by type, function, shape and material. The analysis of furniture hard ware of the Joseon era and modern times from the view of functional aspects was oriented to the hard ware necessary to open and close the door & drawer on one side, and to that being attached to the main body of furniture not to scratch the wood by another wood on the other side, and from thi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First of all, “Gwangdoojung” - a kind of spike- and metal decoration on the edge of the furniture disappeared, while the function-oriented hard wares have been di-versified in modern tim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hange of kinds. Second, the functional aspect of the furniture hard ware was emphasized in modern times than the Joseon era. In other words, the hard wares of the Joseon era came into view due to their strong appeal to deco-ration, whereas those of modern times were mostly hidden or moderated, keeping the function substantially. Third, the hard wares from the Joseon era were shown in concrete and detailed shape motivated by natural objects and furthermore even gloriously, but the modern hard wares are simple & basic geometry, from a formative point of view. Fourth, the material aspects pres-ent that the Joseon era’s hard ware was mainly cast iron, whereas that of modern times shows the diversification from metal to even plastic. Finally, the recent trend in naming of the hard wares is the words of foreign origin. This resulted from that the foreign names of hard wares are valid also after import process in Korean market, so the domestic development of hard ware as the essential factor for the furniture design is urgently necessary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Korean modern furniture.
목차
Ⅰ. 서론
Ⅱ. 조선시대의 가구하드웨어
Ⅲ. 한국 현대의 가구하드웨어
Ⅳ. 조선시대와 현대의 가구하드웨어 비교
Ⅴ. 결론
사사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무용 패널 시스템 리디자인 개발
- 신도시 설계의 개념을 고려한 가로 시설물 디자인 프로세스 방법에 관한 연구
- 백제권 유물을 활용한 컴퓨터용품 디자인 개발연구
- 부피팽창률법을 이용한 활엽수 열처리 목재의 섬유포화점 측정
- 국내산 낙엽송 소경각재의 허용응력 산출
- 국내 목재 놀이터의 현황
- 한국 가구 하드웨어 변화 연구
- 실내디자인에서 Object의 비일상성 연구
-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한 목제품 및 금속제품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 선릉 정자각 목부재의 연륜연대 분석
- 소나무재의 촉진열화실험에 따른 재색변화에 대한 연구
- 국내의 AV주변 가구의 최근 디자인 경향
- 색채조화론에 의거한 국외 오피스 가구의 색채 경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