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동기 상실경험과 성인기 우울

이용수 125

영문명
Childhood Loss and Depressive Symptoms in Adulthood: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Relations
발행기관
한림대학교 고령사회연구소
저자명
김경희(Kyunghee Kim)
간행물 정보
『한림고령사회연구』제8권 제1호, 29~46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동기 상실경험이 성인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긍정적 대인관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2년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자료 1,396명을 대상으로 SPSS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서 아동기 상실경험은 ETISR-SF, 우울은 PHQ-9, 긍정적 대인관계는 Ryff(1989)의 PWBS 중 긍정적 대인관계(positive relations) 척도를 사용하였다. 첫째, 아동기 상실경험은 우울에 정적인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기 상실경험이 많은 성인일수록 긍정적 대인관계의 수준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긍정적 대인관계는 우울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동기 상실경험은 긍정적 대인관계를 매개로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아동기 상실경험이 우울에 이르는 경로의 메커니즘을 확인하였고, 아동기 상실경험에 대한 개입과 아동기 상실⋅애도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생사학(生死學)적 노력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According to the life course perspective, childhood loss can lead to negative adulthood mental health outcomes such as anxiety and depression. However, the pathways between childhood loss and adulthood depression have not been well investigated.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rela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loss and depressive symptoms in adulthood. The data were drawn from the 2012 Korea General Social Survey (KGSS), consisting of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1,396 Korean adults aged 18 or older. Childhood loss was measured with the Early Trauma Inventory Self-Short Form (ETISR-SF), depression was measured with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and positive relations was measured with the Ryff’s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s (PW-BS). SPSS Process Macro was us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childhood los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but this association was partially mediated by positive relations. This study confirmed one of the pathways between childhood loss and depression in adulthood. Since an individual can gain emotional stableness and sense of belongings, positive relationships may be an important coping resource for those who have childhood los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interventions for childhood loss and education on grief and bereavement in childhoo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희(Kyunghee Kim). (2020).아동기 상실경험과 성인기 우울. 한림고령사회연구, 8 (1), 29-46

MLA

김경희(Kyunghee Kim). "아동기 상실경험과 성인기 우울." 한림고령사회연구, 8.1(2020): 29-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