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4차산업혁명시대의 근로시간과 임금체계: 근로시간단축과 유연근로시간제

이용수 1064

영문명
A Study on the Working Hours and Wage System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발행기관
4차산업혁명융합법학회
저자명
유재원(Ryu, Jae-won)
간행물 정보
『4차산업혁명 법과 정책』창간호, 97~128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7.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코로나19로 4차산업혁명의 시대가 빨라지고 있다. 현재는 4차산업혁명시대에 걸맞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는 시점이다. 재택근무가 활성화되었고 근로시간과 근로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노동환경이 조성되는 기점에 놓여 있다. 이와 관련하여 근로시간의 문제로서 유연근로시간제도가 주목받고 있고, 임금산정의 문제로서 포괄임금제가 새삼 주목받고 있다. 2018년 개정된 개별적 근로관계법(「근로기준법」)에 따라 2020년에 주 최대 52시간을 한도로 하는 근로시간 단축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산업현장의 사업주들은 단축된 근로시간에 맞추어 근로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자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이는 유연근무시간제에 대한 관심은 더욱 증가시키는 기폭제가 되었다. 유연근로시간제는 업무량이 많은 특정 기간의 근로시간을 연장하고 비교적 한가한 기간의 근로시간을 단축시켜 일정기간 평균 근로시간을 법정근로시간 내로 맞추는 탄력근로시간제가 있다. 그 외에도 선택적 근로시간제, 간주근로시간제, 재량근로시간제, 보상휴가제로 이루어져 있다. 유연근로시간제는 노 · 사간의 합의를 바탕으로 근로시간을 신축적으로 단축하거나 연장할 수 있지만 단축된 법정근로시간을 잠탈하면서 무한정한 장기간 근로를 허용할 여지가 있다. 또한 기존에 비해 연장 · 야간 · 휴일근로 일수가 줄어들어 실질적으로 근로자들의 임금감소를 초래하기도 한다. 따라서 4차산업혁명시대에 유연근로시간제를 도입한다고 하더라도, 하루 최대한으로 배치 가능한 근로시간을 제한해야 한다. 그리고 유연근로기간 가운데 장시간 근로가 집중된 기간은 기존보다 높은 가산수당을 지급하도록 하여 유연근로제의 도입으로 줄어든 임금의 일부를 보존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부가적으로 유연근로시간제가 포괄임금제가 결합될 경우, 포괄임금제라는 명목으로 유연근로시간제를 대체하거나 침해할 수 있다(대체형 또는 침해형). 또한 다른 경우로서, 외관상 유연근로시간제를 시행하면서 포괄임금계약이 병존하여 포괄임금제에 따른 임금을 지급하고 그에 따라 (무한정한) 초과근로를 실행할 수 있다(참칭형). 이러한 유연근로시간제와 포괄임금제의 제도적 결부로 인한 문제점은 유연근로시간제의 제도적 수준을 한층 끌어올리면서 포괄임금제를 흡수하거나 적어도 포괄임금제를 법 제도 내에 들여와야 한다. 이를 통하여 포괄임금제의 운용이 법정근로시간, 유연근로시간제 등에 악영향을 주지 못하도록 하여 해결할 수 있다.

영문 초록

With Corona 19,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accelerating. Currently, an atmosphere suitable for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forming. It is a time when telecommuting has been activated and a working environment regardless of working hours and places of work is created. In this regard, the flexible working arrangement is drawing attention as a matter of working hours, and the comprehensive wage system(or inclusive wage) is drawing attention as a matter of calculating wages. Under the Individual Labor Relations Act (the Labor Standards Act of Korea), which was revised in 2018, the reduction of working hours, which limits up to 52 hours a week, began in earnest in 2020. Business owners at industrial sites have begun to seek various ways to efficiently utilize their working hours in line with their shortened working hours, and among them, interest in the flexible working arrangement is growing even more. ‘The flexible working arrangement’ has ‘a flexible working hours system’ that extends the working hours of a certain period of high workload and reduces the working hours of relatively idle periods to meet the average working hours of a certain period within legal working hours. In addition, it consists of ‘selective working hours’, ‘deemed(considered) working hours’, ‘discretionary working hours’, and ‘compensation leave’. The flexible working arrangement can flexibly shorten or extend working hours based on an agreement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but there is room to allow long-term work while deviating from the shortened legal working hours. Also, the number of overtime, nighttime, and holiday work days is reduced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 which actually leads to a reduction in wages for workers. Therefore, even if the flexible working hours system is introduced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necessary to limit the maximum number of hours that can be deployed per day. and During the flexible working period, long-term work hours should be paid an additional allowance higher than before, so that part of the wages reduced by the introduction of the flexible work system can be preserved. In addition, if the flexible working arrangement is combined, it may replace or infringe the flexible working arrangement in the name of the comprehensive wage system ; (alternative type or intrusive type). In other cases, the existence of a comprehensive wage contract in the implementation of a seemingly flexible working arrangement may result in the payment of wages under the comprehensive wage system and the implementation of (unlimited) overtime work accordingly ; (tentative type). The problem with this flexible working arrangement and comprehensive wage systems is that they should absorb the comprehensive wage system or at least bring the comprehensive wage system within the legal system while further raising the institutional level of the flexible working arrangement. Through this, the comprehensive wage system can be solved by preventing the operation of the comprehensive wage system from adversely affecting legal working hours, flexible working arrangement, etc.

목차

Ⅰ. 근로시간단축과 유연근로시간제의 대두
Ⅱ. 유연근로시간제에 대한 구체적인 고찰
Ⅲ. 유연근로시간제와 관련한 포괄임금제(제도적 연계의 부작용)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재원(Ryu, Jae-won). (2020).4차산업혁명시대의 근로시간과 임금체계: 근로시간단축과 유연근로시간제. 4차산업혁명 법과 정책, (1(창간호)), 97-128

MLA

유재원(Ryu, Jae-won). "4차산업혁명시대의 근로시간과 임금체계: 근로시간단축과 유연근로시간제." 4차산업혁명 법과 정책, .1(창간호)(2020): 97-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