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비대면(Untact) 교육환경의 대응에 관한 연구

이용수 236

영문명
Une étude sur la réponse de l environnement de l éducation en ligne sans face-à-face Centre d aide à l éducation
발행기관
한국헌법학회
저자명
강명원(Kang, Myoung Won)
간행물 정보
『헌법학연구』憲法學硏究 第27卷 第2號, 309~33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19년 말부터 시작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으로 인해 초등학교, 중・고등학교, 대학교의 대부분 수업이 비대면 온라인으로 운영되면서 학생들 사이에 ‘교육 불평등’이라는 중요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특히, 부모의 소득수준에 따라 학생들의 학습격차가 벌어졌고, 이와 더불어서 학생의 학습능력이 우수하거나 가정 내 교육학습환경이 잘 갖추어진 경우에는 비대면 온라인 수업이 원활하게 진행된 반면, 반대의 경우에는 학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해 학습격차가 더 벌어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우리 헌법 제31조는 교육을 받을 권리에 관해 규정하고 있으며 헌법재판소도 “교육을 받을 권리는 통상 교육조건 개선, 정비 및 교육기회의 균등보장을 국가에 적극적으로 요구할 수 있는 권리이며, 교육을 받을 권리의 보장은 국민이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가지고 행복을 추구하며 인간다운 생활을 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대전제”라고 밝히고 있다. 이는 대면 교육환경뿐만 아니라 비대면 교육환경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는 점을 상기한다면 비대면 교육환경에서의 교육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은 헌법적 요구이기도 한 것이다. 따라서 비대면 교육환경에서의 교육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하여 첫째, 교육복지 목적을 특정한 취약그룹을 대상으로 상대적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선별적 교육복지에 좀 더 중점을 두어야 하며, 둘째, 교육환경의 평등한 보장 차원에서 학생의 제도권 교육참여에 장애가 되는 다양한 생활여건 지원 서비스(생활복지)를 더 강화할 필요성이 있으며 특히, 교육 형평성 관점에서 부모의 실질적인 경제력과 무관한 교육환경 취약계층 즉, 장애아동, 다문화가정 자녀, 탈북청소년 등에 대한 지원도 필요하다. 무엇보다도 대면 교육환경이 비대면 교육환경으로 전환될 때를 대비하기 위하여 국가는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특정 취약그룹(교육 취약계층 및 경제적 약자)의 생활복지를 강화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하는 법률제정과 이를 근거로 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교육복지 기본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영문 초록

En raison de l infection à coronavirus (Covid-19), qui a débuté fin 2019, la plupart des classes dans les écoles élémentaires, les collèges et lycées et les universités fonctionnent en ligne sans face-à-face, ce qui pose un problème important, ‘l inégalité éducative’ entre les étudiants. En particulier, l écart scolaire entre les élèves s élargit selon le niveau de revenu des parents. D autre part, l article 31 de notre Constitution stipule le droit de recevoir une éducation, et le Conseil constitutionnel a également déclaré que le droit de recevoir une éducation est généralement le droit d exiger activement l amélioration des conditions d éducation et la garantie de chances égales d éducation de l état. Étant donné que cela s applique également non seulement aux environnements éducatifs en face-à-face mais aussi aux environnements éducatifs non-face-à-face, les efforts visant à résoudre les inégalités éducatives dans les environnements éducatifs non-face-à-face sont également une exigence constitutionnelle. Par conséquent, afin de préparer la transition vers un environnement éducatif non présentiel, l État a promulgué des lois axées sur le renforcement du bien-être de certains groupes vulnérables (la classe scolairement vulnérable et les personnes économiquement défavorisées) et a mis en place un système systématique et un plan de base de bien-être éducatif efficace basé sur cela.

목차

Ⅰ. 서론
Ⅱ. 비대면 시대의 교육환경과 교육을 받을 권리
Ⅲ. 교육을 받을 권리 실현을 위한 교육복지
Ⅳ. 비대면 교육환경에서의 교육복지 : 교육의 형평성 관점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명원(Kang, Myoung Won). (2021).비대면(Untact) 교육환경의 대응에 관한 연구. 헌법학연구, 27 (2), 309-332

MLA

강명원(Kang, Myoung Won). "비대면(Untact) 교육환경의 대응에 관한 연구." 헌법학연구, 27.2(2021): 309-3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