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메타버스 내 가상세계를 활용한 참여무용 플랫폼의 방향성 연구

이용수 1316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문화경제학회
저자명
정우정
간행물 정보
『문화경제연구』제24권 제2호, 95~12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8.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메타버스 내 가상세계를 활용하여 참여무용 플랫폼의 방향성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오늘날 무용 참여는 신체 건강과 즐거움을 추구하는 일상적 여가에서 점차 장르가 다변화되고 지식과 기술을 단련하며 전문성을 획득하는 진지한 여가로 변화하고 있다. 공연예술로서 무용 관객층의 협소함을 고려해 볼 때, 지식과 전문성을 자신의 삶의 중요한 가치와 결합하여 경력으로 전환하는 하비프러너의 증가는 무용에 있어 주목할 만한 현상이다. 이들이 문화예술 매개자로서 사회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문화자본을 확장할 수 있는 방안으로 무용 플랫폼 구축이 중요하며, 특히 실감기술의 발전으로 현실 세계와 융합하는 가상세계는 무용이 가진 환영성과 가상성을 표출하고 신체적 지각을 확장할 수 있는 공간으로 생각된다. 문헌 연구와 사례를 통해 최근 급속히 발전하는 메타버스 환경에 대한 특징을 살펴보고 무용 참여의 가치와 특성을 가상세계에 적용하여 논의하였다. 그 결과 환상과 실재가 융합된 유희적 공간, 창작과 자아실현의 궁극적 공간, 사회적 교류와 소통의 공동체적 공간, 무용 상품과 서비스의 경제활동 공간으로 참여무용 플랫폼의 개념적 모델을 도출하였으며, 환상과 게임적 특징을 지닌 유희적 가상세계와 현실적 삶의 체험인 사회적 가상세계의 특징을 모두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회적 실재감과 몰입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술적 측면 외에 서사적 콘텐츠, 공간적 상호작용이 중요하며, 창작과 생산, 경제활동이 가능한 사용자 위주의 창작 도구와 인터페이스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를 둘러싼 기술적 측면 대신 가상세계에서 인간의 지각과 행동, 삶의 방식이 어떻게 달라질 것인가라는 질문에 방점을 두고 있으며 무용에 있어 그 방향성을 탐색하기 위한 초기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virtual worlds in Metaverse as a participatory dance platform. Today, it was noted that the genre gradually diversifies from everyday leisure, which pursues physical health and enjoyment in dance participation, to a form of serious leisure that trains knowledge and skills, and acquires expertise. Considering the narrowness of the dance audience as a performing art, the increase in hobby-preneur, which acquires knowledge and expertise and combines them with the important values of one s life, is a notable phenomenon in dance. It is important to build a dance platform as a way for them to form a social network and expand their cultural capital, and especially, the virtual world, which is drawing attention as a space for new experiences due to the development of realistic 3D multimedia technology, is expected to lead to an expanded space for dance’s virtuality.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examples, the characteristics of recent rapidly evolving Metaverse environments were reviewed and the value and meaning of dance participation were discussed by applying them to the virtual world. As a result, the conceptual model of the participatory dance platform was derived as a play space combining fantasy and reality, ultimate space of creation and self-realization, community space of social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and economic activity space of dance goods and service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narrative content and spatial interaction are important in addition to technical aspects, and user-oriented creative tools and interfaces are needed to enable creation, production and economic activ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결과 및 논의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우정. (2021).메타버스 내 가상세계를 활용한 참여무용 플랫폼의 방향성 연구. 문화경제연구, 24 (2), 95-122

MLA

정우정. "메타버스 내 가상세계를 활용한 참여무용 플랫폼의 방향성 연구." 문화경제연구, 24.2(2021): 95-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