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3.1운동에 있어서 기독교학교의 역할과 오늘날의 과제

이용수 17

영문명
The Role of Christian Schools in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and Tasks for Today’s Christian Schools
발행기관
한국기독교교육학회
저자명
박상진(Sang Jin Park)
간행물 정보
『기독교교육 논총』제58집, 11~51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독교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30
7,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3.1운동에 있어서 기독교학교가 어떤 역할을 했는지를 분석하고, 이에 근거하여 3.1운동 100주년을 맞이하는 오늘날의 기독교학교의 과제가 무엇인지를 조명하는 연구이다. 3.1운동은 1919년 3월 1일, 서울의 탑골공원에서 일어난 만세운동만이 아니라 그 이후 약 1년에 걸쳐 우리나라 전역과 세계 각 지역에서 일제의 한반도 강점에 대해 저항하며 민족의 독립을 선언한 운동을 일컫는다. 이 3.1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될 수 있었던 것은 전국 각지에 설립되어있던 기독교학교가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였기 때문이다. 1885년 이후, 미국 북장로교회와 남장로교회, 북감리교회와 남감리교회, 호주 장로교회 등에서 파송된 선교사들이 전국 각지에 설립하였던 기독교학교들과 한국 토착교회들이 세운 기독교학교들이 3.1운동의 지역별 진원지가 되었던 것이다. 당시의 기독교학교들은 기독교민족주의적인 성격을 지닌 건학이념에 투철하였고, 이에 근거한 성경교육과 기독교적 교과교육을 실시하였으며, 교사들이 신앙과 인격에 있어서 학생들의 본이 되었고, 일제의 기독교학교의 억압에 항거하는 저항교육공동체의 성격을 띄었다. 3.1운동 100주년을 맞이하는 오늘날 기독교학교가 3.1운동 당시의 기독교학교가 지녔던 대 사회적 영향력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기독교학교의 자율성 회복, 신앙교육 강화, 기독교적 교육 실천, 교사의 소명 및 영성 심화, 기독교학교와 교회의 협력 강화가 요청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role of Christian schools in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and suggests tasks for today’s Christian schools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includes not only the independence demonstration in Tapgol Park on March 1st, 1919, but also those independence movements which were spread nationwide and worldwide during the following period of around one year.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could be expanded nationwide because Christian schools, established in almost every lo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ook the initiative role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Christian schools, which had been built since 1885 by the missionaries of the Northern Presbyterian Church of USA, the Southern Presbyterian Church of USA, the Northern Methodist Church of USA, the Southern Methodist Church of USA, the Presbyterian Church of Australia, and Korean indigenous churches, became the starting places for regional branches of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Christian schools at the time pursued Christian nationalism as their school philosophy, and practiced Bible education and a Christian approach to all its subjects. Also, Christian teachers in Christian schools were exemplars to their students in terms of faith and personality. Christian schools in 1919 could be identified with a resistance-education community which worked to be liberated from the oppression of Japan. On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Christian schools have the task of recovering the social influence which Christian schools had in 1919, through recovering the autonomy of Christian schools, strengthening faith education, practicing Christian teaching, deepening the calling and spirituality of teachers, and intensifying the co-operation of the Church and Christian schools.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3.1운동과 기독교학교의 역할
III. 3.1운동의 동인으로서 기독교학교교육
IV. 향후 기독교학교의 과제
V.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상진(Sang Jin Park). (2019).3.1운동에 있어서 기독교학교의 역할과 오늘날의 과제. 기독교교육 논총, 58 , 11-51

MLA

박상진(Sang Jin Park). "3.1운동에 있어서 기독교학교의 역할과 오늘날의 과제." 기독교교육 논총, 58.(2019): 11-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