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부, 모에 대한 불안정 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자기자비의 이중 매개 효과

이용수 347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unstable attachment for mother & father and post-traumatic growth: The double-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elf-compassion
발행기관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황수진(Hwang Sujin) 정지현(Jung Jihyun)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인문사회과학연구 제22권 제3호, 383~407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8.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어린 시절 부,모에 대한 불안정 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자기자비가 이중매개효과를 가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초기 부모 애착 척도, 지각된 사회적 지지 척도,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 외상 후 성장 척도를 이용하였고, 2019년 6월 13일부터 8월 9일까지 30~60대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눈덩이 표집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336명의 자료를 상관분석한 결과, 첫째, 부,모에 대한 회피애착은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부적 상관(부-회피, 모-회피 r=-.287, p<.01)을 보였으며, 부,모에 대한 불안 애착과 회피 애착 모두 자기자비와 부적 상관(모-불안 r=-.250 p<.01, 모-회피 r=-.113 p<.05, 부-불안 r=-.176 p<.01, 부-회피 r=-.183 p<.01)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에 대한 회피애착은 외상 후 성장과 부적 상관(r=-.169 p<.01)을 보였다. 둘째 PROCESS macro를 이용해 부,모에 대한 불안정 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부, 모에 대한 불안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는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모-불안 B=-.1326, 부-불안 B=-.0961)만 유의하였으며, 부,모에 대한 회피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는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모-회피 B=-.1472, 부-회피 B=-.1341) 및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자기자비의 이중매개효과(모-회피 B=-.0497, 부-회피 B=-.0440)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부,모에 대한 불안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는 자기자비의 억제효과가, 모에 대한 회피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는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자기자비의 억제효과가 시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모와 부, 불안, 회피 애착에 따라 다른 치료적 개입이 필요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애착유형에 따라 외상 후 성장을 위해 중점을 두어야 하는 심리적 요인을 탐색해 개입의 초점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designed to clarify whether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elf-compassion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stable attachment and post-traumatic growth. The study subjects were 336 men and women in their 30s to 60s. They answered Early Parental Attachment Scale, Perceived Social Support Scale, Self-compassion Scale, and Post traumatic Growth Inventor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ROCESS macro. The results are as follows: avoidant attachment ha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perceived social support. Anxious/avoidant attachment hav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compassion and avoidant attachment to father has negative correlation with post-traumatic growth. In the mediation analyses with bootstrapping, self-compass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ous attachment and post-traumatic growth, whereas perceived social support alone,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elf-compassion together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voidant attachment and post-traumatic growth. Mother-Anxiety Attachment, Mother-avoidance attachment and father-anxiety attachment had a suppression effec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revealed that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elf-compassion depending on the property of unstable attachment to father and mother, differently serve as a suppress effect or mediate effect of unstable attachment on post-traumatic growth. These results provide implications for therapeutic intervention in people with attachment trauma. And It is meaningful in that it specifically suggested the focus of the intervention by exploring the psychological factors that should be focused on for post-traumatic growth according to the attachment typ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수진(Hwang Sujin),정지현(Jung Jihyun). (2021).부, 모에 대한 불안정 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자기자비의 이중 매개 효과. 인문사회과학연구, 22 (3), 383-407

MLA

황수진(Hwang Sujin),정지현(Jung Jihyun). "부, 모에 대한 불안정 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자기자비의 이중 매개 효과." 인문사회과학연구, 22.3(2021): 383-4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