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건강장애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 및 교육 실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Education Status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of Children with Health Impairment
발행기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저자명
류신희(Ryu, Sin-Hui) 김정연(Kim, Jeong-Youn)
간행물 정보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51권 제4호, 157~176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10.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건강장애학생의 학교생활적응 과정에 대한 부모의 인식을 바탕으로 장차 건강장애 학생의 성공적인 학교적응을 위한 다양한 교육적 서비스 방안들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현재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에 거주하고 있는 건강장애학생의 부모(N=50)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도구로는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몇 가지 중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장애 학생의 담당 의료진은 학생의 건강상태와 치료에 대한 정보를 대체로 충분히 제공하고 있었고, 건강장애 학생이 치료 후 학교에 복귀하도록 용기를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소속 학교 교사와 의료진의 정보 공유 정도에 있어서는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나 의료진과 교사와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또래 관계에 있어서는 장기입원 등으로 인한 또래 접촉이 부족하며 질병에 대한 또래의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와의 관계에서는 상호의견을 교환하거나 건강장애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인식 정도, 교사에 대한 기대수준 등이 대체로 평균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에서는 건강장애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 및 교육 실태와 관련하여 현장에서 반영되어야 할 몇 가지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넷째, 교과 학습 면에서는 입원 중 받은 교육 형태는 병원학교, 사이버 교육, 자원봉사자에 의한 개별교육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발병 후 수학, 체육 교과 등의 수업 참여에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해 교과 학습과 학교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개별지도 및 교육대책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학교생활 면에서는 필요한 교육이 적절하게 제공되지 못하고 있어 건강장애 학생의 교육서비스에 대한 보완 및 대책이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학교생활의 어려움으로는 신체적인 피로와 통증, 낮은 학업성취 순으로 나타나 기존의 병원학교 프로그램이 보다 학업을 강조하는 쪽으로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학생의 의료적 욕구나 응급처치에 대한 학교의 준비가 필요하고 이를 지원할 보건실이나 상담실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adjustment to school life of children with health impairment with researching the degrees of requirement and satisfaction on the school reentry support as well as the education and life status of them. The target of this study is 62 parents of children with health impairment living in Gwangju and Jeolla Nam Do. Th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the statistical analysis with SPSS program ver.13.0 and the attentional level was set 5%. For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it was calculated to frequency and reaction percentage and the case percentage in case of multiple answers. And they were categorized by the similar themes so performed the relative analysis among sub-variables on the requirement of the school reentry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 First, medical staffs of children with health impairment sufficiently provided the information on their health status and medical treatments and encouraged them to reenter their school after the treatments. However, they hardly shared the information with children s teach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ffective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staffs and teachers. Second, although there are many children with health impairment who answered getting along with all friends in their companionship, actually there are quite a lot of children who answered that they played alone or had just 1 or 2 friends. The reason of the hard companionship was mostly they had trouble in being in touch with other friends. It means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encourage them to keep in touch with their friends. Also there is the opinion that other peers do not understand the diseases of children with health impair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of the education of understanding their friends with health impairment for peers when their school reentry. Third, in the relations between children with health impairment and their teachers, it is shown a lot that the teachers were merely acquainted with children s diseases. Therefore, the teachers need to communicate actively on children s health status with medical staffs and be educated for understanding the children with health impairment when their school reentry. Additionally, in the teachers expectancies for the children, they need to properly expect the children s academic achievements or activities instead of having the prejudice on their diseases. Forth, it is shown that children with health impairment were not provided properly the necessary education in their general school life. Therefore, it is urgently necessary to figure for and support the educational service for them. In addition, it is shown that it is mostly negative for the preparation of the first aids and the medical necessity of schools, so it means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preparation for the first aids and the medical necessity of schools for children as well as the health care offices and the guidance offices. Fifth, the most difficult subjects for children who took health impairments to take are mathematics, physical education, and the most difficult subjects for them to participate in were experience activities for 1 night and 2 days, field trips and physical education. The reasons are the limitation of physical activities, lack of time of learning and decline of intuitive abil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he individual teaching and educational counter plan to support their curricular learning and school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adjustment to school life of children with health impairment with researching the degrees of requirement and satisfaction on the school reentry support as well as the education and life status of them.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류신희(Ryu, Sin-Hui),김정연(Kim, Jeong-Youn). (2008).건강장애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 및 교육 실태.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1 (4), 157-176

MLA

류신희(Ryu, Sin-Hui),김정연(Kim, Jeong-Youn). "건강장애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 및 교육 실태."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1.4(2008): 157-1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